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Both Sides Fyke Net in Dol-san, Yeosu

여수 돌산도 연안 이각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 정현호 (전라남도 수산종합관) ;
  • 한경호 (여수대학교 수산생명과학부) ;
  • 김춘철 (여수대학교 수산생명과학부) ;
  • 윤성민 (여수대학교 수산생명과학부) ;
  • 서원일 (여수대학교 수산생명과학부) ;
  • 황선영 (여수대학교 수산생명과학부) ;
  • 이성훈 (여수대학교 수산생명과학부)
  • Received : 2004.12.05
  • Accepted : 2005.02.28
  • Published : 2005.03.31

Abstract

The data for the present study were collected from the both-sides fyke net fishery in coastal Dolsan, Korea, from March 2003 to February 2004 A total of 2,402 individuals (432,42 kg)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to 11 orders, 34 families, and 48 species. The most dominant order was the Perciformes, comprising 21 species in 15 families, followed by Scorpaeniformes, 8 species in 5 families, and Pleuronectiformes, 5 species in 3 families, These three orders constituted 67.9% of the total collected fish. The most dominant species, Acanthopagrus schlegeli, accounted for 279 individuals (20.26 kg), followed by Mugil cephalus with 187 individuals (99.61 kg), and Konosirus punctatus with 178 individuals (8.89 kg). The diversity index of the fish catches was 1.6823~2.9105 and was the highest in September 2003 and the lowest in December 2003. The evenness index was 0.6585~0.8872 it was the highest in August 2003 and the lowest in December 2003. The dominance index was 0.2000~0.6852, with the highest in December and the lowest in August 2003.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소율 연안에 위치한 이각망어장을 이용하여, 2003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12개월 동안 매월 1회씩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을 조사하였다. 이각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는 총 11목 34과 48종으로 총개체수와 총생체량은 각각 2,402개체, 434.4 kg으로 나타났으며, 출현한 어종 중 목별로는 농어목이 15과 21종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 쏨뱅이목이 5과 8종, 가자미목이 3과 5종으로 이들 3목에 포함된 어류가 총 31종으로 전체 출현종수의 79.5%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는 목들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중 개체수와 생체량은 감성돔이 279개체(20.3 kg)가 출현하여 가장 우점하였고, 다음으로는 숭어가 187개체 (99.6 kg)가 출현하여 우점하였으며, 전어가 178개체(8.9 kg)로 우점하는 종으로 나타났다. 이들 어류들의 출현개체수와 생체량은 수온이 상승하는 봄, 여름에 높게 나타났고, 수온이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낮게 나타나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월별 개체수와 생체량 변동은 주로 총 개체수의 11.6%를 차지한 감성돔에 의한 것으로 나타나 이 연안에서 어류군집구조와 개체수의 변동은 멸치에 의해서 좌우되며, 생체량의 변동도 총 생체량의 43.6%를 차지한 꼼치, 아가씨물메기, 농어의 3종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종다양도지수 (H')는 1.68~2.91로 출현종이 다양하고 개체수가 많은 9월 조사에서 가장 높은 값으로 나타났고, 12월에는 1.68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주요 어종의 출현빈도는 연중 출현한 어종은 감성돔이고, 전어는 12월과 2월을 제외한 달에, 숭어는 10월, 11월, 12월을 제외한 달에, 볼락은 8월, 9월, 11월을 제외한 달에, 조피볼락은 4월, 11월, 2월을 제외한 달에, 농어는 11월, 1월, 2월을 제외한 달에, 점농어는 3월, 11월, 2월을 제외한 달에 출현하여 본 연안에 우점하는 주거종으로 나타났다. 봄철에만 출현한 어종은 반지이고, 가을에만 출현한 어종은 날매퉁이, 부세, 돌가자미, 흑밀복이며, 겨울에만 출현한 어종은 청어, 그물메기, 졸복 등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획물 중 경제성이 있는 어종은 우점종인 감성돔과 숭어, 전어, 보구치, 점농어 등이며, 그 밖에 전갱이, 갈치, 농어, 넙치, 가자미 등이 출현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Kang, C.B. 2000. Taxonomical studies on the genus Lat­eolabrax (Pisces, Perciformes) from the Korean waters. Ph. D. Thesis, Bukyung National University, 138 pp (in Korean)
  2. Masuda, H., K Amaoka, C. Araga, T. Uyeno and T. Yoshino.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Tokai University Press, 437 pp
  3. Nakabo, T., M. Aizawa, Y. Anomura, Akihito, Y. Ikeda, K Sakamoto K Shimada, H. Senoum, K Hatookka, M. Hayashi, K Hosoya, U. Yamada and T. Yoshino, 1993.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a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 Press. 1162 pp (in Japanese)
  4. Nelson, J.S. 1994. Fishes ofthe World (3r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550 pp
  5. Pianka, E.R. 1966. Latitudinal gradients in species diversity: Areview of concepts. Amer. Natur., 100 : 33-46 https://doi.org/10.1086/282398
  6. Pielou, E.M.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 J. Theoret. Bool., 13 : 131-144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
  7. Shannon, C.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Univ. of Illinois Press, pp. 125
  8.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 1-688 https://doi.org/10.1038/163001a0
  9. 김용억.명정구.김영섭. 1994. 한국근해 유용어류도감. 국립수산진흥원, 299 pp
  10. 국립수산진흥원. 1987. 어구분류 및 각부명칭. 태화출판사, 209 pp
  11. 박경량.이완옥. 1988. 소흑산도 및 하의도의 해산어류 목록. 목포대학 연안생물연구, 5 : 69-85
  12. 신상수. 2001. 여수 돌산도 연안 정치망 어장에 출현한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여수대학교 수산과학과 석사학위논문, 45 pp
  13.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727 pp
  14. 유재명.김성.이은경, 1993. 여자만에서 장마에 의한 담수 유입이 어란 및 치자어의 출현량에 미치는 영향. 해양연구, 15(1) : 37-42
  15. 이태원, 1989. 천수만 저서성 어류 군집의 계절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2(1) : 1-8
  16. 이태원, 1991. 아산만 저어류 I. 적정 채집방법. 한국수산학회지, 24(4) : 248-254
  17. 이태원, 1993. 아산만 저어류 III. 정점간 양적 변동과 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 25(5) : 438-445
  18. 이태원, 1996.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1. 저어류. 한국수산학회지, 29(1) : 71-83
  19. 이태원.김광천, 1992. 아산만 저어류 II. 종조성의 주야 및 계절변동. 한국수한학회지, 25(2) : 103-114
  20. 이태원.문형태.최신석. 1997.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2. 대천 해빈쇄파대 어류. 한국어류학회지, 9(1) : 79-90
  21. 이태원.황선완, 1995. 아산만 저어류 IV. 종조성의 최근 3년간 (1990-1993)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8(1) : 67-79
  22. 한경호. 1999b. 여수 가막만연안에 출현한 부유성 난 및 자치어 분포, 여수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8 : 111-119
  23. 한경호.윤연미.양한춘. 1998. 광양만 묘도해역의 어류 군집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여수대학교 논문집, 13(2) : 1025-1046
  24. 한국동물분류학회. 1997. 한국동물명집 (곤충제외). 한국동물분류학회 편, 489 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