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호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동태

The Ichthyofauna and Dynamics of the Fish Community in Miho Stream, Korea

  • 손영목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
  • 변화근 (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
  • Son, Yeong-Mok (Dept. of Sciences Education, Seowon University) ;
  • Byeon, Hwa-Kun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5.10.12
  • 심사 : 2005.12.06
  • 발행 : 2005.12.31

초록

2004년 5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미호천에서 어류상과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집된 어류는 총 10과 41종이었으며 이중 한반도 고유종 종은 12종 (29.3%) 이었다. 국외에서 도입된 외래어종은 Carassius cuvieri, Lepomis macrochirus, Micropterus salmoides 3종이었고 개체수 비교풍부도는 0.3% 이었다. 미호천 수계 어류상에서 우점종은 Zacco platypus로서 54.7%의 높은 우점율을 나타내었으며 모든 조사 지점 에서도 우점하였다. 1982년에 비해 종다양도 지수, 균등도 지수, 종풍부도는 낮았고 우점도 지수는 높았으며 Lampetra reissneri, Anguilla japonica, Acheilognathus macropterus, Coreoleuciscus splendidus, Pseudopungtungia nigra, Gobiobotia naktongensis, Lefua costata, Pseudobagrus koreanus, Monopterus albus, Iksookimia choii 등은 본 조사에서 출현하지 않았고 Carassius auratus, Rhodeus uyekii, Rhodeus notatus, Acheilognathus lanceolatus, Pseudogobio esocinus, Hemibarbus longirostris, Microphysogobio yaluensis, Cobitis lutheri, Iksookimia koreensis, Pseudobagrus fulvidraco, Rhinogobius brunneus 등은 급격한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다. 증가 추세에 있는 대표적인 종은 Z. platypus, Pseudorasbora parva, Squalidus gracilis majimae 등이었다.

The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were studied in Miho Stream from May 2004 to August 2005. During the surveyed period 41 species belonging to 10 families were collected. Twelve of the species (29.3%) are endemic to Korea. Exotic fishes were Carassius cuvieri, Lepomis macrochirus, and Micropterus salmoides. Dominant species was Zacco platypus (54.7%). Comparing the present result with that of Son (1982), the indices of diversity,evenness and richness were lower and the dominance index was higher; Lampetra reissneri, Anguilla japonica, Acheilognathus macropterus, Coreoleuciscus splendidus, Pseudopungtungia nigra, Gobiobotia naktongensis, Lefua costata, Pseudobagrus koreanus, Monopterus albus and Iksookimia choii did not appear; Carassius auratus, Rhodeus uyekii, Rhodeus notatus, Acheilognathus lanceolatus, Pseudogobio esocinus, Hemibarbus longirostris, Microphysogobio yaluensis, Cobitis lutheri, Iksookimia koreensis, Pseudobagrus fulvidraco, and Rhinogobius brunneus, remarkably decreased, and Z. platypus, Pseudorasbora parva, and Squalidus gracilis majimae increa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 (담수어류). 교육부 pp. 21-520
  2. 변화근.이완옥.박상덕. 2002. 대댐에서의 어족보호방안 연구. 한국수자원공사
  3. 손영목. 1983. 미호천의 담수어류상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 16(1-2) : 13-20
  4. 손영목. 1991. 충천북도 담수어류. 서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기초과연구논총 제5집 : 1-38
  5. 송형호.김익수. 1979. 금강 상류에 서식하는 희귀어종의 서식상황. 한국자연보존연구보고서 제1집 : 231-239
  6. 송용우. 1981. 금강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17
  7. 안광국.홍영표.김재구.최신석. 1992. 금강 담수어의 대상 분포와 군집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5(2) : 99 -112
  8. 이충렬. 1992. 금강하구의 하구언 축조 이후 어류군집의 변화. 한국육수학회 25(3) : 193-204
  9. 전상린. 1977. 한국산 감돌고기의 생태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10(1-2) : 33-46
  10. 전상린.변화근. 1999. 금강유역 하천생태계 (어류) 및 서식환경 조사. 상명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pp. 22-28
  11.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12. 최신석.송호복.황수옥. 1997. 대청호의 어류 군집. 한국육수학회지 30(2) : 155-166
  13. 최기철.김익수. 1972. 무주남대천의 어류상에 관하여. 한국 육수학회지 5(1-2) : 1-12
  14. 최기철.이지영.김태용. 1977. 금강에 건설 중인 대청댐을 중심한 어류조사. 한국육수학회지 10(1-2) : 25-32
  15. 최신석. 1978. 대청댐 상류의 담수어에 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11(1-2) : 27-33
  16. 최기철.박종성. 1979. 금강하류 수역의 수질오염과 보호어류 및 특산어류조사. 한국자연보존 연구보고서 1 : 241-256
  17. 최기철.김익수.손영목. 1985. 금강하류의 담수어류자원에 관하여. 한국자연보존연구보고서 7 : 51-64
  18. 최기철.전상린.김익수.손영목. 2002. 개정원색 한국담수 어도감. 향문사
  19. 최병문. 1977. 충북산 담수어에 관한 연구. 충주교육대학 과학교육연구논문 제2집 : 41-59
  20. 內田惠太郞. 1939. 조선어류지. 조선총독부 수산시험장보고, 6 : 1-460
  21. Cummins, K.W. 1962. An evalut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 Am. Midl. at. 67 : 477 -504 https://doi.org/10.2307/2422722
  22.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 36-71
  23.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 168- 144
  24.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John Wiely & Sons, New York
  25.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 : 131-144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