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Study for the Conceptual Variety of Media Education

  • 김양은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Kim, Yang-Eun (Dept. of Mass Communication, ChungAng University)
  • 발행 : 2005.02.07

초록

본 연구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미디어 교육을 둘러싼 2가지 차원에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 수용자의 이용자로의 변화, 교육환경의 변화의 3가지 차원에서의 미디어 교육을 둘러싼 환경변화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미디어 교육의 다양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역사적으로 미디어 교육이 미디어 이론과 연관성을 맺으면서 발전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미디어 교육의 환경과 이론적 토대의 변화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이 변화해야 할 필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자들이 제시하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미디어 교육은 초기의 텔레비전에 대한 교육에서 새로운 학문영역으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미디어 교육은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에 따라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으로 확장시켜야 한다. 이러한 변화는 미디어 교육이 언어적 차원, 미디어 내용의 비판적 해석, 사회와의 소통이라는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어짐을 의미한다.

This study's purpose is a search for the conceptual variety of media education. For this purpose, media education's surrounding is used to search by two of view. First view is about the condition of media education that includes an advent of new media, consumer's attitude change to user and variety of educational change. And then the variable paradigm of media education are viewed how it is connected with the theories of media with time. Change of surrounding and theoretical variety tell us why concept of media education should be revised. So, in this study, many scholar's definitions of the media education are regarded. From the rally stage of education for the television, the media education's definition has formed as new field. After that, media education expanded to the media literacy as communication competence with an advent of new media. This means that media education would be variably extend to verbal media education, critical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s and communication with commun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