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미디어의 중독적 이용 경험과 개인의 자아정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lationship of Webmedia addictive Experience and Self-identity

  • 김성벽 (중앙대 언론문화연구소)
  • Kim, Sung-Byuk (Communication & Culture Research Institute of Chung-Ang University)
  • 발행 : 2005.02.07

초록

본 연구는 웹 미디어 이용에 대한 성찰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미디어 매개적 경험의 확산은 인간의 경험을 축소하고 상실케 함으로써 개인의 자아정체성 인식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 증가하고 있는 웹 미디어의 중독적 이용경향은 심각한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웹 미디어의 중독적 이용경험과 자아정체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자를 이용량과 중독적 몰입도를 중심으로 9개 집단으로 구분했고, 이들의 자아정체성을 비교했다. 연구결과, 웹 미디어 중독적 이용경험과 자아정체성간에는 높은 유의미적 상관성이 제시되었다. 특히 웹 미디어 중독적 이용경험의 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아정체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으로써 웹 미디어의 중독적 이용경험에 대한 우려를 실증해 주었다. 또한 웹 미디어에 대한 단순한 이용량보다는 중독적 몰입정도에 따라 자아정체성의 차이에 더 큰 유의미성이 나타났다.

This study emphasized the self-examination to using webmedia. Proliferation of media-mediated experience cause the reduce and infringe of human experience, and It is suggested to problem to negative operation for Self-identity. Expecially, A tendency of addictive using of Webmedia produce the serious anxiety. Based on this discussion, the relationship of web-media addictive experiences and Self-identity has been studied. There are 9 groups of panels who are divided by using degree of web media experience, the quantitative dimension and addictive involvement, the qualitative dimension. As a result high significance was suggested between the level of web-media addictive experience and Self-identity. Expecially, highly web media experienced group has less Self-identity than low web-media experience group. therefore, Concerns on Web-media mediated experiences were demonstr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erms of web-media experiences, addictive involvement level affects more meaningfully to the Self-identity than quantitative dimension approac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