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지역 토층의 미세조직과 지화학적 특성의 중요성

Importance of Microtextural and Geochemical Characterizations of Soils on Landslide Sites

  • 김경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추창오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 부성안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정교철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Kim Kyeong-Su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Choo Chang-Oh (Dept. of Ge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Booh Seong-An (Groundwater research lab., Rulal Research Institute, KARICO) ;
  • Jeong Gyo-Cheol (Dep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5.12.0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산사태가 발생된 편마암, 화강암 및 퇴적암지역 자연사면의 토층을 대상으로 이들의 미세조직, 입도분포, 광물조성 및 지화학분석을 실시하여, 산사태 발생 에 영 향을 줄 수 있는 토층물질의 특성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편마암류인 장흥지역, 화강암류인 상주지역, 제3기퇴적암류인 포항지역의 산사태현장 및 그와 대비되는 곳의 토층으로부터 채취 한 흙을 대상으로 레이저입도분석, X-선회절분석 (XRD), 주사전자현미경 (FE-SEM) 및 에너지분산스펙트럼(ED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편마암류와 화강암류지 역은 산사태 발생지역의 토층이 미발생지역에 비해 점토광물의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양상은 화강암지역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따라서 편마암류와 화강암류지역은 점토광물의 함유비율이 산사태에 유의한 영향인자로 간주될 수 있다. 점 토광물로는 일라이트(illite)가 가장 풍부하고 녹니석과 카올리나이트(kaolinite) 순으로 구성 비가 높고,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도 부분적으로 함유된다. 제3기퇴적암지역은 편마암류와 화강암류지역에 비해서 점토광물의 함량이 전반적으로 높고 팽창성 점토광물인 몬모릴로나이트의 함유비율이 특히 높다 따라서 이들이 집중호우시 토층의 지지력에 크게 영향을 미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강우조건에서도 다른 지역보다 산사태가 더 쉽게 발생된다. 그리고 산사태 발생지역과 미발생지역간 광물조성의 차별성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지 않아 산사태가 광물조성의 차이에 큰 영향을 받기보다는 국지적인 지형조건이나 흙의 공학적 특성 등에 주로 지배를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자연사면의 산사태를 연구할 때 기존의 토질 및 지질공학적 특성평가외에도 토층의 풍화특성과 구성 광물의 종류, 점토광물의 함량, 흙입 자의 미세조직과 같은 다양한 지화학적 정보가 추가된다면 산사태 발생 원인을 보다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and discuss the importance of geochemical properties of soil material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occurrence of the landslide, using analyses of microtexture, particle size distribution, XRC, and FE-SEM equipped with energy dispersive spectrum on soils collected from landslide slopes of gneiss, granite and sedimentary rock areas. Soils from gneiss and granite areas where landslides took place have much clay content relative to those from non landslide areas, particularly pronounced in the granite area. Therefore the clay content is considered a sensitive factor on landslide. Clay minerals contained in soils are illite, chlorite, kaolinite and montmorillonite. Especially the content of clay minerals in soils from the Tertiary sedimentary rocks is highest, with abundant montmorillonite as expandable species. It is believed that this area was much vulnerable to landslide comparable to other areas because of its high content of monoorillonite, even though there might be weak precipitation. Since no conspicuous differentiation in mineralogy between the landslide area and non landslide area can be made, the occurrence of landslide may be influenced not by mineralogy, but by local geograph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oils. Geochemical information on weathering properties, mineralogy, and microtexture of soils is helpful to better understand the causes and patterns of landslide, together with engineering geological analys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수, 김원영, 채병곤, 조용찬, 2000, 강우에 의한 산사태의 지질공학적 특성-충청북도 보은지역-, 대한지질공학회지, 10, 2, 163-174
  2. 김경수, 이문세, 조용찬, 채병곤, 이춘오, 2004, 지질에 따른 토층사면의 토질공학적 특성-부산 황령산 지역-, 지질공학, 14, 4, 487-498
  3. 김경수, 조용찬, 송영석, 이춘오, 채병곤, 이문세, 2005a, 부산 백양산일대 자연사면의 지질조건에 따른 토질공학적 특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논문집, 9, 2, 3-19
  4. 김경수, 김원영, 채병곤, 송영식, 조용찬, 2005b, 강우에 의해 발생된 자연사면 산사태의 지질공학적 분석-용인.안성지역을 대상으로-, 지질공학, 15, 2, 105-121
  5. 김원영, 이사로, 김경수, 채병곤, 1998, 지형 특성에 따른 산사태의 유형 및 취약성-연천-철원지역을 대상으로-, 대한지질공학회지, 8, 2, 115-130
  6. 김원영, 채병곤, 김경수, 기원서, 조용찬, 최영섭, 이사로, 이봉주, 2000, 산사태 예측 및 방지기술연구, 한국자원연구소, KR-00-(T)-09, 642p
  7. 심대섭, 김선학, 기완서, 주승완, 2004, 강우에 따른 화강암질 풍화토 사면의 전단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지질공학, 14, 4, 349-360
  8. 이사로, 박하나, 민경덕, 1997, GIS를 이용한 1987년 7월 부여 서부지역의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분석 및 산사태 취약성도 작성 연구,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제30차 학술발표회 요약집
  9. 채병곤, 김원영, 나종화, 조용찬, 김경수, 이춘오, 2004, 제3기 퇴적암 및 화산암 분포지의 산사태 예측모델, 지질공학회지, 14, 4, 443-450
  10. 채병곤, 김원영, 이춘오, 김경수, 조용찬, 송영석, 2005, 지질조건에 따른 사태물질 이동특성 고찰, 지질공학, 15, 2, 185-199
  11. Brunsden, D., 1985, Landslide types, mechanisms, recognition, identification. Proceedings of landslides in the South Wales, 18-29
  12. Casagli, N., Ermini, L. and Rosati, G., 2003, Determining grain size distribution of the material composing landslide dams in the Northern Apennines: sampling and processing methods, Engineering Geology, 69, 83-97 https://doi.org/10.1016/S0013-7952(02)00249-1
  13. Lumb, P., 1975, Slope Failures in Hong Kong, Quarter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London, 8,31-65 https://doi.org/10.1144/GSL.QJEG.1975.008.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