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공동생활주택 개발을 위한 다세대$\cdot$다가구주택의 접근성 평가

Evaluation of Accessibility to Multi-household$\cdot$Multi-studio Type House for Developing Senior Congregate Housing

  • 서예영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전공) ;
  • 홍형옥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부 주거환경전공)
  • Seo Ye-Young (Major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Kyunghee University) ;
  • Hong Hyung-Ock (Major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Kyunghee University)
  • 발행 : 2005.12.0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essibility of existing multi-household multi-studio type house for developing Senior Congregate Housing. At present, in Korea, 'the Act of Promotion of Convenience and SEcurity for Disabled, Aged, Expectant Mothers, etc.' is applied to only public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7 units -2 multi-household house and i multi-studio type house- in order to grasp the problems caused if the aged would dwell in that type of house, by the items of 'manual for improving the residency of the disabled' which was stipulated by the act abov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ain entrances, exits and width of stairways had narrow spaces, the handles and bars did not conform with the terms presented in the manual above. Front doors should be opened like a bay for wheelchair use. Secondly, additional lighting apparatus and furniture should be added properly Thirdly, there were several inconformity to the manual for bathroom: improper handles, inadjustable washing-stands, unavailable spaces in front of toilet bowls, and out-of-place showers and taps. Finally kitchen cabinet design improper for wheelchair user. In conclusion, accessibility of existing multi-household or multi-studio type house was not good enough for the aged reside in. Those insufficiencies suggest that more specified standards to enhance accessibility to develop senior congregate housing should be added.

키워드

참고문헌

  1. 성은영(2002). 단독주택지내 다가구 . 다세대 주택의 합리적 배치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지은영(2003). 지역사회보호를 위한 노인주거서비스 개발방향 - 수요자와 전달자 견해를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하영(2004). 유료노인주거복지시설의 실내환경 실태조사 및 디자인 계획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홍형옥(1999). 한국의 지역사회통합형 노인주거의 대안적 모색 - 노인공동생활지원주택의 개념 도입과 제도적 탐색-. 주택연구, 7(2), 75-91
  5. 홍형옥(2001). 노인공동생활주택에 대한 태도와 선호. -한국에서의 노인생활지원주택개발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47-166
  6. 홍형옥 . 지은영(2003). 노인공동생활주택에 대한 지역별 견해 비교.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4
  7. 홍형옥 . 유병선(2003). 노후의 일 . 여가 태도에 따른 노인 공동생활주택 선호 경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3-24
  8. 홍형옥 . 유병선 . 전경화(2004). 프랭클린(franklin)의 사회구성주의 모델 관점으로 본 한국의 노인주택 맥락.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12
  9. 진희선 . 전남일(2001), 다가구, 다세대 주택 공급의 공과와 개선방향. 대한건축학회 학술논문집, 21(2), 15-18
  10. 서은미 . 홍형옥(2004). 일본 노인주거시설의 관리적 측면 연구.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논집, 8(2), 84-97
  11. 홍형옥 . 이경희 . 김대년 . 최정신 . 조재순 . 권오정(2004). 2020년 노후의 공간환경을 전망한다: 노후에는 어디에서 살까. 서울: 지식마당
  12. 주택산업연구원(2004). 다가구 주택 관련 검토
  13. 한국주거학회(2005) 다가구주택 매입임대사업 평가 발표자료집. 주택건설촉진법 시행규칙
  14. 주택법
  15. 통계청. www.nso.go.kr
  16. 건설교통부. www.moct.go.kr
  17. 주택산업연구원. http://www.khi.re.kr
  18.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www.caf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