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ublime in Contemporary Fashion - Focused on the Fashion from the Early 90's -

현대 패션에 표현된 숭고미에 관한 연구 - 199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패션을 중심으로 -

  • Choi Soo-Hyun (Dept. of Fashion Design Course, Yeungjin College)
  • 최수현 (영진전문대 패션디자인전공)
  • Published : 2005.11.01

Abstract

In postmodernism, the sublime that reaches ecstasy overcoming terror or pain is described as the most expressive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ublime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for this purpose, 1 investigated the theories of the sublime, categorized the definition and modes, then applied those categories for contemporary fashion. Documentary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aesthetic, design and fashion books and the demonstrative studies were processed by analyzing photos from fashion magazines. In the history of aesthetics, the sublime is explained as the ambivalent feeling mixed with pain and pleasure, terror and delight or negation and affirmation. In this study, the sublime could be defined as the aesthetic pleasure through the transcendence of the pain and terror and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the tragic, the initiative, and the deconstructive. The tragic sublime that includes the terrific, the disgusting and the religious character is expressed through the image of death or the physical torture, the satanic image or disgusting object and the ascetic image and religious sign or icons. The limitless sublime that includes the giant and the dynamic character is accomplished by consist of the elongation or the enlargement and the powerful authority. The deconsturctive sublime that includes the negative, the indeterminate and the complex character is associated with the deconstruction in style, the reversal of image and the destruction of the space of the body. Analysis on the sublime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may provide an excellent way for understanding human aesthetic consciousness in dress.

Keywords

References

  1. Gilbert-Rolfe, J. (1998). Beauty and the Contemporary Sublime. Beckley. B. (ed.). Uncontrollable Beauty. New York: Allworth Press. p. 39
  2. 안성찬 (2000), 숭고의 미학 그 기원과 개념사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
  3. 신성림 (1995), 숭고의 미학과 예술 숭고의 현대적 복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남희 (1997), 시각예술에 있어서 숭고의 문제 리오 따르의 포스트모던 숭고론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설형진 (2000) 숭고미와 집합적 기억 이론에 근거한 알도로시의 도시건축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Lipovetsky, G. (1994), The empire of fashion. Princeton: Priceton University Press, p. 241
  7. 최수현 (1994). 복식의 미적 법주 르네상스 바로크 복식에 적용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윤희 (1998) 현대 한국적 복식에 나타난 인체와 복식에 대한 미의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민자 (1998).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I. 복식, 37, pp 103-118
  10. 김민자 (1998).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II. 복식, 38, pp. 369-392
  11. 최수아 (2003). 패션에 나타난 퓨전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주영, 양숙희 (1997), 현대복식에 나타난 외부로부터의 해체현상(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1 (8), pp. 1261-1274
  13. 김주영, 양숙희 (1998), 현대복식에 나타난 외부로부터의 해체현상(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22(1), pp. 317
  14. 김혜정, 임영자 (1998). 현대 건축의 형태구성과 해체주의 패션의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40, pp. 137-150
  15. 이정후, 양숙희 (1999), 포스트모던 패션에 나타난 불확정성. 복식, 45, pp. 179-199
  16. 박성현 (1998). 미적 범주 체계의 철학적 의미. 미학, 1(24), p. 57
  17. 다께우찌 도시오 (1990). 미학 예술학 사전. 서울. 미진사, pp. 268-269
  18. 박선목 (2000). 즐거운 생활로서의 미학. 서울. 형설 출판사, pp. 40-41
  19. 다께우찌 도시오 (1990). 미학 예술학 사전. 서울. 미진사, pp 269-270
  20. Tatarkiewicz, W. (1990) 여섯 가지 개념의 역사. 서울: 이론과 실천, p. 200
  21. Tatarkiewicz, W. (1990) 여섯 가지 개념의 역사. 서울: 이론과 실천, p. 31
  22. 윤미숙 (1991), E. Burke의 崇高와 美의 分析에 關한 硏究.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3-33
  23. Kant, I. (1960). Observation of the feeling of the beautiful and sublin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 Kant, I. Kritik der Urteilskraft. 이석윤 (역) (1974). 판단력 비판. 서울: 박영사
  25. 정원석 (1997). 포스트모더니즘과 숭고의 미학: 칸트, 쉴러, 리오타르의 숭고 개념에 대한 분석적 고찰.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3
  26. Turner, B. S. (1984), The body and society, Oxford: Basil Blackwell. pp. 9-59
  27. 다께우찌 도시오 (1990). 미학 예술학 사전. 서울. 미진사, p. 269, pp, 102-103, p. 270, pp, 113-114
  28. Schopenhauer, A., 곽복록 역 (1994).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서울: 을유문화사. p. 262
  29. Nietzsche, F., 곽복록 역 (1984). 비극의 탄생. 서울: 범우사
  30. (1997), 두산세계대백과사전. 17. 서울: 두산동아, p, 520
  31. Calineque, M. (1987), Five faces of modernity.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pp. 175-176
  32. Lyotard, J. F., 유정완 외 역 (1996). 포스트모던의 조건. 서울: 민음사. p. 216
  33. Winters, E. 'Religion: Transcendence, and the Light and the Dark: The work of Jo Volley Marcus Rees Robert. Art & Design. May 1995. p. 77
  34. Mishra, V. (1994) The gothic sublime.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19-20
  35. 설형진 (2000) 숭고미와 집합적 기억 이론에 근거한 알도로시의 도시건축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1
  36. Gilbert-Rolfe, J. (1998). Beauty and the Contemporary Sublime. Beckley. B. (ed.). Uncontrollable Beauty. New York: Allworth Press, p. 39
  37. Rosenblum R. & Jason. H. W. (1984). 19th century art. New York: Harry N. Abrams, p, 59
  38. 윤미숙 (1991), E. Burke의 崇高와 美의 分析에 關한 硏究.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4
  39. Evans. C. (2003), Fashion at the edge: Spectacle, modernity and deathliness.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 Press, pp. 220-221
  40. Martin, R. & Koda, H. Infra-Apparel. 이선재 역 (1996). 인프라 의상. 서울: 경춘사, p. 44
  41. Derycke, L. & Van de Veire, S. (1999). Belgian fashion design. Belgium: Die Keure
  42. Nyc, D. E. (1994). American technological sublime. Cambridge: The MIT Press, p. 1
  43. 최재선 외 5인 (1991), 현대 사회와 종교. 서울: 바울서신서, pp, 18-19
  44. 조규화 (1989), 복식미학. 서울: 수학사, p. 119
  45. Flligel, J. C. (1930). The psychology of clothes. London: Hogarth Press, pp. 46-48
  46. Johnson. K. K. P. & Lennon, S. J. (ed.) (1999) Appearance and power. London: Oxford International Publishers Ltd., p. 6
  47. Vogue Korea. 2002년 1월, p, 136
  48. Wilson. E. (1985). Adorned in dreams: Fashion and modernity. London: Virago Press, p. 132
  49. Ash J. & Wilson E. (ed.) (1992), Chic thrills: A fashion reader. London: Pandora Press, p. 172
  50. Vogue Korea. 2002년 9월, p, 186
  51. Steele. V. (1991). Women of fashion. New York: Rizzoli, p. 186
  52. Quinn, B. A. Note: Hussein chalayan, fashion and technology. Fashion Theory, 6(4). pp. 359-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