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Gilbert-Rolfe, J. (1998). Beauty and the Contemporary Sublime. Beckley. B. (ed.). Uncontrollable Beauty. New York: Allworth Press. p. 39
- 안성찬 (2000), 숭고의 미학 그 기원과 개념사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
- 신성림 (1995), 숭고의 미학과 예술 숭고의 현대적 복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남희 (1997), 시각예술에 있어서 숭고의 문제 리오 따르의 포스트모던 숭고론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설형진 (2000) 숭고미와 집합적 기억 이론에 근거한 알도로시의 도시건축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Lipovetsky, G. (1994), The empire of fashion. Princeton: Priceton University Press, p. 241
- 최수현 (1994). 복식의 미적 법주 르네상스 바로크 복식에 적용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윤희 (1998) 현대 한국적 복식에 나타난 인체와 복식에 대한 미의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민자 (1998).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I. 복식, 37, pp 103-118
- 김민자 (1998).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 II. 복식, 38, pp. 369-392
- 최수아 (2003). 패션에 나타난 퓨전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주영, 양숙희 (1997), 현대복식에 나타난 외부로부터의 해체현상(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1 (8), pp. 1261-1274
- 김주영, 양숙희 (1998), 현대복식에 나타난 외부로부터의 해체현상(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22(1), pp. 317
- 김혜정, 임영자 (1998). 현대 건축의 형태구성과 해체주의 패션의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40, pp. 137-150
- 이정후, 양숙희 (1999), 포스트모던 패션에 나타난 불확정성. 복식, 45, pp. 179-199
- 박성현 (1998). 미적 범주 체계의 철학적 의미. 미학, 1(24), p. 57
- 다께우찌 도시오 (1990). 미학 예술학 사전. 서울. 미진사, pp. 268-269
- 박선목 (2000). 즐거운 생활로서의 미학. 서울. 형설 출판사, pp. 40-41
- 다께우찌 도시오 (1990). 미학 예술학 사전. 서울. 미진사, pp 269-270
- Tatarkiewicz, W. (1990) 여섯 가지 개념의 역사. 서울: 이론과 실천, p. 200
- Tatarkiewicz, W. (1990) 여섯 가지 개념의 역사. 서울: 이론과 실천, p. 31
- 윤미숙 (1991), E. Burke의 崇高와 美의 分析에 關한 硏究.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3-33
- Kant, I. (1960). Observation of the feeling of the beautiful and sublin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Kant, I. Kritik der Urteilskraft. 이석윤 (역) (1974). 판단력 비판. 서울: 박영사
- 정원석 (1997). 포스트모더니즘과 숭고의 미학: 칸트, 쉴러, 리오타르의 숭고 개념에 대한 분석적 고찰.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3
- Turner, B. S. (1984), The body and society, Oxford: Basil Blackwell. pp. 9-59
- 다께우찌 도시오 (1990). 미학 예술학 사전. 서울. 미진사, p. 269, pp, 102-103, p. 270, pp, 113-114
- Schopenhauer, A., 곽복록 역 (1994).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서울: 을유문화사. p. 262
- Nietzsche, F., 곽복록 역 (1984). 비극의 탄생. 서울: 범우사
- (1997), 두산세계대백과사전. 17. 서울: 두산동아, p, 520
- Calineque, M. (1987), Five faces of modernity.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pp. 175-176
- Lyotard, J. F., 유정완 외 역 (1996). 포스트모던의 조건. 서울: 민음사. p. 216
- Winters, E. 'Religion: Transcendence, and the Light and the Dark: The work of Jo Volley Marcus Rees Robert. Art & Design. May 1995. p. 77
- Mishra, V. (1994) The gothic sublime.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19-20
- 설형진 (2000) 숭고미와 집합적 기억 이론에 근거한 알도로시의 도시건축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1
- Gilbert-Rolfe, J. (1998). Beauty and the Contemporary Sublime. Beckley. B. (ed.). Uncontrollable Beauty. New York: Allworth Press, p. 39
- Rosenblum R. & Jason. H. W. (1984). 19th century art. New York: Harry N. Abrams, p, 59
- 윤미숙 (1991), E. Burke의 崇高와 美의 分析에 關한 硏究.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4
- Evans. C. (2003), Fashion at the edge: Spectacle, modernity and deathliness.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 Press, pp. 220-221
- Martin, R. & Koda, H. Infra-Apparel. 이선재 역 (1996). 인프라 의상. 서울: 경춘사, p. 44
- Derycke, L. & Van de Veire, S. (1999). Belgian fashion design. Belgium: Die Keure
- Nyc, D. E. (1994). American technological sublime. Cambridge: The MIT Press, p. 1
- 최재선 외 5인 (1991), 현대 사회와 종교. 서울: 바울서신서, pp, 18-19
- 조규화 (1989), 복식미학. 서울: 수학사, p. 119
- Flligel, J. C. (1930). The psychology of clothes. London: Hogarth Press, pp. 46-48
- Johnson. K. K. P. & Lennon, S. J. (ed.) (1999) Appearance and power. London: Oxford International Publishers Ltd., p. 6
- Vogue Korea. 2002년 1월, p, 136
- Wilson. E. (1985). Adorned in dreams: Fashion and modernity. London: Virago Press, p. 132
- Ash J. & Wilson E. (ed.) (1992), Chic thrills: A fashion reader. London: Pandora Press, p. 172
- Vogue Korea. 2002년 9월, p, 186
- Steele. V. (1991). Women of fashion. New York: Rizzoli, p. 186
- Quinn, B. A. Note: Hussein chalayan, fashion and technology. Fashion Theory, 6(4). pp. 359-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