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URODEVELOPMENTAL PERSPECTIVE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신경발달학적 고찰

  • Ahn, Dong-Hyu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안동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is the most common neurodevelopmental disorder in child psychiatry. The etiology or ADHD is not completely understood, but involved in genetical and/or neurocognitive deficits. This article reviews the current state of the literature pertaining to the neurodevelopmental aspects of ADHD. Although the neurodevelopment of ADHD remains unclear, emerging evidence documents its genetic and neurobiologic underpinnings. A pathophysiology of ADHD has not been fully characterized, although genetic, neurobiologic, neuroimaging, and neuropsychological studies of ADHD consistently implicates dysfunction in the fronto-subcortical network and abnormality in the dopaminergic and noradnergic systems. Furthermore some suggests that the timing of aberrant brain development in ADHD could be in early gestation and genetic and/or early environmental influences on brain development in ADHD are fixed, nonprogressive. Although many studies provide evidences for the important or psychosocial or environmental adversities in ADHD, they may be not specific predictors of ADHD but nonspecific triggers of an underlying predisposition or modifiers of the course of disorder.

ADHD는 소아정신질환 가운데 가장 흔한 신경발달학적 질환으로 간주되고 있다. ADHD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유전적 및 신경학적 요인들이 관여하는 것은 틀림없고, 이들이 신경계의 특정 부위와 경로에 이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의 연구들을 중심으로 ADHD의 원인과 관련한 신경발달학적 측면을 고찰하고자 한다. 방법은 Medline검색을 통해 최근 발표된 논문들, ADHD관련 단행본, ADHD를 특집으로 한 몇 개의 잡지에 실린 종설 논문들 및 연관 참고문헌 등을 토대로 조사하였다. 결과는 ADHD의 신경발달학적 측면에서 일부 유전적인 요인과 임신 및 출생전후의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달하는 뇌를 변형시킴으로서 주로 대뇌의 prefrontal cortex-striatal network를 구조적으로 혹은 기능적으로 저하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임신 2기에 ADHD의 발생과 관련한 대뇌 및 소뇌 이상을 초래한다는 주장을 하기도 하였으며, 이들 이상은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고정된 것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ADHD의 원인과 관련하여 신경발달학적으로 어떤 시기에, 어떤 손상이나 영향에 의해, 어떤 이상이 초래하여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결론적으로 주의력 체계와 관련한 신경전달회로의 차이, 도파민계와 노에피네프린계의 기능이나 증상과 관련한 차이 등 을 포함하여 신경발달학적인 면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