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ENTAL ATTACHMENT STYLES AND PSYCHIATRIC MANIFESTATIONS IN THEIR $4^{th}\;TO\;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부모의 애착 유형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신병리와의 상관 관계

  • Yoo Han Ik (Department of Psychiatry, Asan Medical Center) ;
  • Hwang Jun Won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Boong-Nyun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Shin Min Sup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Hong Kang-E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Cho Soo Churl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유한익 (서울아산병원 정신과) ;
  • 황준원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소아청소년 분과) ;
  • 김붕년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소아청소년 분과) ;
  • 신민섭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소아청소년 분과) ;
  • 홍강의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소아청소년 분과) ;
  • 조수철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소아청소년 분과)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Objectives :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he attachment styles of the primary caregivers and the behavioral problems of their childre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insecure parental attachment patterns on the development of their higher grades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sychiatric manifestations and disorders. Methods : 504 higher elementary pupils and their primary caretakers were included in our study. Relationship Questionnair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and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were applied to them. Results : The grade-school children of the parents who belonged to preoccupied attachment type revealed higher Withdrawn, Anxious/depressed, Social Problems, Attention Problems, Delinquent Problems, Aggressive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Total Behavioral Problems scores than ones of securely attached parents (p<0.01). Internalizing Problems score of preoccupied parents' children was highest, and one of avoidant and secure typed parents' kids followed in order (p=0.004) . More youngsters revealed Total Behavior Problem score high enough to clinically meaningful level in insecure parental attachment style than in secure one (p=0.038). Higher CDI score in insecure parental group was reported than in secure one (p=0.040). Conclusion : Parental insecure attachment can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behavioral problems and psychiatric illness of their children.

이 연구는 주양육자의 불안정형 애착유형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행동문제와 정신과 질환의 발병에 기여하는지를 증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한 2개의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504명과 부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부모의 애착 유형을 평가하기 위해 자기보고형 관계 질문지 (Relationship Questionnaire) , 아동의 우울 증상을 평가를 위해 한국형 소아우울척도, 불안 증상의 평가를 위해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 평가척도, 그리고 부모에 의한 아동의 행동 평가를 위해 한국어판 K-CBCL을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몰입형 애착 유형의 부모의 초등학교 자녀들이 안정형 애착 유형 부모의 자녀보다 사회성, 불안, 우울, 주의집중력, 문제 행동, 공격성 등 상당히 다양하고 포괄적인 영역의 정신과적 문제를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내재화 증상은 부모가 몰입형일 때 가장 높았고, 회피형, 안정형 순이었다. 또한 부모의 애착 유형이 불안정형일 때, 안정형에 비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심각한 수준의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이 더 많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