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o Integrity, Appearance Behavior, Health, and Demographic Variables of Elderly Women

노년기 여성의 자아통합감과 인구통계적 특성, 건강 및 외모행동과의 관련 연구

  • Lee, Eun-Sil (Department of Fashion Accessory, Jinju International University) ;
  • Ahn, Seong-Ah (Department of Beauty Design, Jinju International University)
  • 이은실 (진주국제대학교 패션액세서리학과) ;
  • 안성아 (진주국제대학교 미용예술학과)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appearance behavior and ego integrity of elderly wome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health, and to examine how the ego integrity of elderly women was influenced by appearance behavior, health,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subjects were 117 elderly women(aged 60 to 70) in Jinju, Korea who were interviewed face-to face with a surve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earance adornment and ego integrity (wise living and attitude toward life) according to age. After controlling for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earance interest, makeup, and ego integrity according to edu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go integrity (attitude toward lif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 spouse or m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earance interest, makeup, and ego integrity according to health. Health and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present living. Health, age(-), and appearance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ise living. Health, age(-), and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toward life. Education and heal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ppearance behavior. The present findings indicate that health state and appearance behavior, such as appearance interest and makeu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go integrity of elderly women. On the whole, the ego integrity of elderly wome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health state, education, and appearance behavior.

Keywords

References

  1. 권중돈, 조주연(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2. 김미혜, 유영주(1999). 우리나라 여성 노인의 생활실태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문헌고찰: 1990년대 문헌들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논집, 3(1), 47-56
  3. 김순구(1993). 노인 및 노인집단의 인구통계적.심리적 변인과 의복행동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안젤라(2004). 회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4, 153-179
  5. 김영미, 유영주(2001).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원주시 노인을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논집, 5(1), 15-28
  6. 김옥현(1998). 노인의 성격유형, 자아통합감과 노화에 대한 지각과의 관계연구. 순천청암대학 논문집, 22(2), 33-55
  7. 김정순(1988).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주성(1999).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울산과학대학 연구논문집, 26(1), 259-277
  9. 김진구, 서미아, 이유경, 이선희(1996). 노년기 여성의 생활만족도 및 외모만족도에 따른 의복만족도와 의복디자인 선호도에 대한 연구: 서울시내 거주 노년기 여성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4(1), 57-74
  10. 김진구, 이유경(1995). 노년기 여성의 의복행동 연구. 복식문화연구, 3(2), 347-370
  11. 대한노인병학회(2000). 노인병학. 서울: 의학출판사, 22-24
  12. 류정란(2002). 노인자원봉사활동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미애(1987). 노년여성의 신체적 자아 및 생활만족도와 의복태도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민애(2001). 입원노인의 성격유형 및 건강상태와 자아통합감과의 관계.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재호(1984).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사회적 지각과 태도.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 435-440
  16. 배영숙(1993).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 5(1), 13-18
  17. 서의훈(2002). SPSS통계분석. 서울: 자유아카데미, 157
  18. 양영순(2004). 인터넷 활용만족도가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오상현(2001).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자아통합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명희, 이은실(1997).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에 따른 노년 여성의 외모관심과 자신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6), 1072-1081
  21. 이미화(1995). 노인의 건강통제위 성격과 자아 통합감에 관한 연구. 광주보건전문대학 논문집, 20, 291-306
  22. 이원진(2003). 노인여성의 화장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인자(1984). 복식사회심리학. 서울: 수학사, 292-344
  24. 임치경(1984). 노년기 여성의 사회적 불안감과 의복행동과의 관계: 서울시내 노인학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전산초, 최영희(1990). 노인간호학. 서울: 수문사, 70-77
  26. 전재일(1979). 노인으로서 자기개념의 시기와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1, 1-23
  27. 정희용(1987). 노년기 여성의 자아지각과 의복관심과의 상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조복희(1992). 가정학 연구방법론. 서울: 교문사, 223
  29. 최정훈, 이훈구, 한종철, 윤진, 정찬섭, 오경자(1996). 인간행동의 이해: 심리학. 서울: 법문사, 239
  30. 한국갤럽조사연구소(1984). 한국노인의 생활과 의식구조. 서울: 갤럽조사연구소
  31. 한국여성개발원(1989). 여성노인의 복지지원을 위한 기초 실태 조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32. Bader, I. M. (1963). An Exploratory Study of Clothing Problems and attitude of Group of Older Women in Iowa City. Aging Life to Years, 10, Supplement, No.10, 3-6
  33. Baum, S., & Boxley, R. (1983). Age Identification in the Elderly. The Gerontologist, 23, 532-537 https://doi.org/10.1093/geront/23.5.532
  34. Birren, J. E., & Cunningham, W. R. (1989). Research on Psychology of Aging. in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Co., 3-34
  35. Cash, T. F., & Pruzinsky, T. (2000). 바디이미지. 임숙자, 이승희, 이미현, 신효정(역). 서울: 교문사, 41-57
  36. Chowdhary, U. (1988). Self-esteem, Age Identification, and Media Exposure of the Elderly and Their Relationship to Fashionability.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7(1), 23-30 https://doi.org/10.1177/0887302X8800700105
  37. Eric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Ed.). New York: Norton
  38. Havighurst, R. J. (1977).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aging, Let's learn about Aging: a book of reading, Barry J. R. & Wingrove, C. R.(eds.). New York: Schenkman Publishing Co., 139-148
  39. Ryan, M. S. (1966). Cl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241-317
  40. Troll, L. E. (1975). Early and middle adulthood: The best is yet to be-maybe. California: Books Cole Publishing Co., 4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