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um Transplanting Date for Production Quality Rice in Honam Plain Area

호남평야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적정 이앙시기 구명

  • 최원영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남정권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김상수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이준희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김재현 (농촌진흥청) ;
  • 박홍규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백남현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최민규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김정곤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정광용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oper time of transplanting at Iksan plain area in Honam area from 2002 to 2004. The rice cultivars tested were Samcheonbyeo, Nampyeongbyeo and Hwaseong­byeo.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number of spikelets were most when transplanted on May 30 in all maturing types at southern plain. The ripened grain rates vary depending on location and transplanting dates. The proper time of transplanting for both of Samcheonbyeo and Nampyeongbyeo was between May 30 to June 9 and May 30 or later for Hwaseongbyeo. The highest head rice yield was obtained when transplanted on June 9 regard­Bess of the maturing types. The optimum transplanting dates according to maturing types with respect to the yield of head rice, ripened grain rates and the quality for both early and medium type was between May 30 to June 19, for mid-late type between May 30 to June 9.

호남평야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적정 이앙시기를 구명하고자 2002${\~}$2004년까지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단위면적당 영화수는 생태형에 관계없이 5월 30일 이앙에서 가장 많았다. 나. 등숙비율은 삼천벼와 남평벼는 5월 30일${\~}$6월 9일 이앙에서 높았고 화성벼는 5월 30일 이후 이앙에서 높았다. 다. 완전미 수량은 생태형에 관계없이 6월 9일 이앙에서 가장 많았다. 라. 완전미 수량, 등숙비율, 미질 등을 고려한 이앙적기는 조생종과 중생종은 5월 30일${\~}$6월 19일, 중만생종은 5월 30일${\~}$6월 9일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최현옥. 1966. 재배시기 이동에 의한 수도의 생태변이에 관한 연구. 농시연보 9(1) : 1-38
  2. 최현옥,배성호,오윤진. 1969. 수도 재배시기 이동에 의한 생태에 관한 연구. 농시 연보 12(1) : 23-34
  3. 김상수,이선용,김종호,배성호. 1986. 남부2모작 기계이앙 안전작기 구명에 관한 연구. 농시논문집 28(1) : 256-269
  4. 이종철,안수봉. 1984. 수도의 영화수 성립과 수량에 미치는 기상환경의 영향에 관한 연구,II. 영화수 성립에 미치는 기상소모효과. 한작지 29(4) : 336-375
  5. 이선용,김상수,최장수,임무상. 1988. 남부평야지와 산간고냉지에 있어서 재배법 및 기상조건이 수도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농시논문집 30(2) : 25-30
  6. 松島省三. 1958. 稻作の理論と技術. 養賢堂 pp. 34-36
  7. 三石昭三. 1982. 水稻の港水土壞中直播法が成立するまで. 農業技術 37(7) : 294-303
  8. 농촌진흥청. 1981. 수도 냉해 실태분석과 종합기술 대책,수도 작황으로 본 생육과 수량의 특성 pp. 21-32
  9. 농촌진흥청. 2000. 토양 및 식물체분석법 pp 110-112
  10. 농촌진흥청. 2003. 농사시험조사기준 838p
  11. 律森重郞. 1957. 水稻早戰期栽の問題點と實際. 農業および園藝 32(7) : 2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