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ethod for Ethics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대학생의 정보통신 윤리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 유지은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전자계산교육전공) ;
  • 이영옥 (세명대학교 컴퓨터학과)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The harm caused by the opposite fun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as also done increasing with making use of internet more spread. Especially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re even used as new criminal methods in the socie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orientation on the ethics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opinion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who lead the culture of internet for suggestion of the target to raise the upright and sound members of society as well as to solve the above such problems and to establish the desirable model of the ethics. From the questionnaire result by the undergraduate students of S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need the education against the opposite fun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also the education of netiquette of conscience and moral. In case of opinion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Engineering, the result shows that the students have the opinion on the necessity of the professional education to deal with the opposite function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education for upgrade of ability to make use of expert knowled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oward the positive side. Finally, the students in the field of Medicine show that they have also the opinion to deal with the opposite fun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addition, such result shows that they have the opinion of necessity to the special education against various addicted symptom related to the computer.

인터넷 사용이 확대되면서 정보통신의 역기능으로 인한 피해 역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이 사회의 새로운 범죄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인터넷상에서 대학생들의 바람직한 윤리상을 확립하며 올바르고 건전한 사회인으로서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인터넷 문화를 이끌고 있는 대학생들의 견해를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S 대학교 학생들의 설문을 통해 각 전공별로 대학생들의 정보통신 윤리교육에 관한 실태를 파악한 결과, 인문$\cdot$사회계열 학생들은 정보통신의 역기능에 대처할 수 있는 교육 및 인간 양심과 도덕에 관한 네티켓 교육이 필요하고, 이공계열 학생들은 전문적인 정보통신 지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 향상교육 및 정보통신의 역기능에 대처할 수 있는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보건계열 학생들은 정보통신의 역기능에 대처할 수 있는 교육 및 컴퓨터와 관련된 각종 중독 증세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