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콩(Glycine soja Sieb. & Zucc.) 유전자원의 단백질, 지방 및 지방산조성 변이

Variation of protein, Oil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Wild Soybean (Glycine soja Sieb. & Zucc.) Seeds

  • 발행 : 2005.11.01

초록

우리나라 재래 야생콩 70계통들의 종실 성분들을 분석하여 활용 가능한 야생콩 계통을 선발함으로써 나물콩 품종 육성의 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단백질 함량 범위는 $35.6-47.9\%$, 평균은 $42.3\%$였으며, 13계통은 $45\%$ 이상인 고단백 계통이었다. 조지방 함량은 $2.8-18.0\%$, 평균 $10.2\%$$3\%$이하인 2계통을 찾을 수 있었다. 2. 지방산 조성에서 16:0은 $11.1-44.6\%$, 18:0은 $3.0-11.4\%$, 18:1은 $11.1-30.6\%$, 18:2는 $12.4-59.5\%$, 18:3은 $1.1-17.3\%$ 범위였는데 특히 18:3 조성이율이 극히 낮은 2계통을 발굴하였다. 3. 조단백질은 조지방 및 지방산과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고, 조지방은 16:0, 18:0함량과 고도의 부의 상관이, 18:2와 고도의 정의 상관을 그리고 16:0과 18:0, 18:1 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18:2와 18:3과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useful information and to select promising materials for the breeding of sprout-soybean by the analysis of seed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local wild soybean lines. For this purpose, crude protein, crude oil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70 lines analysed.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Korean wild soybean lines ranged from 35.6 to $47.9\%$, mean was $42.34\%$, and 13 lines showed high protein content over $45\%$. The crude oil content of those ranged from 2.8 to $18.0\%$, mean was $10.2\%$, and 2 low lines were below $2\%$. The fatty acid 16:0, 18:0, 18:1, 18:2, 18:3 ranged $11.1-44.6\%,\;3.0-11.4\%,\;11.1-30.6\%,\;12.4-59.5\%,\;and\;1.1-17.3\%$ respectively, and 2 extremely low fatty acid(18:3) lines were select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rude oil and fatty acids(16:0, 18:0, 18:2), and among every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recognized. Promising wild soybean lines were selected as genetic resources for sprout-soybean breeding and research genotypes; YWS 104 and YWS189 as the high protein, YWS 28 and YWS30 as the low-crude oil and low 18:3.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신한· 1972. 우리나라 대두의 기원과 단백질 및 지방원으로서의가치. 한국식품과학회지. 4(2): 158-161.
  2. Dong, Y. S., Zhuang, B. C., Zhao, L. M., Sun, H., He, M. Y. 2001.Thegenetic divers-ity of annual wild soybeans grown in China. TheorAppl Genet. 103: 98-103.
  3. 박 훈, 이종석, 이춘영. 1977. 야생대두단백질의 전기영동유형 및아미노산조성에 관한 연구[ I ] 종실단백질의 Acrylamide gel전기 영동유형 . 한국농화학회지 . 20(2): 247-254.
  4. 박 훈, 허삼남. 1979 각종 야생대두의 생육습성과 단백질함량. 식물학회지 . 22(1-2): 1-4
  5. Yang, G, Zhen, C. Han, F. Ii. 1993. A preliminary study on protein and oil contents of wild soybean(G soja) in Jil in Province. Soybean Genet. News!. 20; 35-38.
  6. Yohe, J. M. 1976. Germplasm utilization in Korea. Lecture meeting onsoybean production,ASPACfFFTC and ORD,Suwon, Korea.
  7. Yu, Hongrun. 1992. G\Jnetic and morphological variation and differentiation of South Korean natural population of wild soybean, Glycine sφa. Sieb. an
  8. 윤태헌, 임경자, 김동훈. 1984. 한국산 콩의 품종별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16(4): 375-382.
  9. Wi lson,R‘ F. 1978. ASTA Soybean seed Res. Conf.
  10. 이경원· 1981. 세계 대두 생산과 이용현황. 한국식품과학회지. 14(1):4-8.
  11. 이준식· 1981. 콩기름의 과학. 한국식품과학회지. 14(1): 1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