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부 간척지에서의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

Proper Nitrogen Fertilizer Level for Improving the Rice Quality at Reclaimed Saline Land in the Southwestern Area

  • 백남현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최원영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고종철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남정권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박홍규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정진일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김상수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박광근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발행 : 2005.11.01

초록

서남부 간척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생태형별 적정 질소시비량을 구명하고자 2003년과 2004년에 호남농업연구소 계화도출장소 시험포장 문포통(세사양토, 토양 염농도 $0.1\%$)에서 삼천벼, 화성벼, 남평벼를 공시하여 질소시비량에 따른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품질 관련형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수수와 영화수는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많았으나 등숙비율이 낮았으며 현미천립중도 가벼웠다. 2. 백미의 완전립비율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낮아졌고, 단백질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됨에 따라 다소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아밀로스함량은 질소시비량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3. 완전미 수량은 삼천벼가 질소 12/10a수준까지, 화성벼와 남평벼는 11/10a 수준까지는 증수되었으나 그 이상의 질소시비량에서는 수량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4. 따라서 서남부간척지에서 벼 기계이앙재배시 완전미 수량, 등숙비율 및 미질 등을 고려한 10a당 적정 질소시비량은 $11\~12$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per nitrogen fertilizer level at reclaimed saline land in the southwestern area of Korea from 2002 to 2004. The rice cultivars tested were Samcheonbyeo(Early maturing one), Nampyeongbyeo (Medium maturing one) and Hwaseongbyeo(Mid-late maturing one). The results ay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re the nitrogen level, the more number of panicle and spikelet per unit area was. But, ripened grain rate and 1000-grain weight were decreased at higher nitrogen level. As higher nitrogen level, head rice rate was decreased and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But, amylose content wasn't differ among the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levels. As increase nitrogen level in head rice yield increased up to 12 kg/10a, 11 kg/10a, in Samcheonbyeo, Hwaseongbyeo and Nampyeongbyeo, respectively. But there wasn't different more than it. Consequently, considering the yield of head rice, ripened grain rate and rice quality. The proper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level was 11-12 kg/10a at reclaimed saline land in the southwestern area of Korea.

키워드

참고문헌

  1. 積律f傷, 大光一. 1991. 食味몇素ε 깐 σ)變動要因. 稍作大百科1. 社團法A 農山演村文化協會307-315.
  2. 箱S律備, {左住忠雄, 新井利直. 1982. 칩米α)味. ξα)科學ε 技術. 北農會pp. 47-100.
  3. 井邊時:雄. 1991. 良食P未水稍品種η育成ε今後σ)方向. 農業칩J: V園藝66(5) : 575-581.
  4. 강양순, 이종훈, 김정일, 이재생. 1997. 규산시용이 미립의 품질에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42(6) : 800-804.
  5. 김정곤, 김창영, 이정일, 신진철, 이문희. 1998. 이앙시기 및 철소시비량이 유색미 “흑진주벼”의 건물생산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농업환경연구논문집 40(2) : 48-55
  6. 농림부. 2002. 농림업주요통계 474pp.
  7. 中川宣與, 古뿔義昭. 1989. 食味育種. 農業技術44(2) : 88-93.
  8. 농촌진흥청 . 2 000 . 토양 및 식물체분석법 110-112.
  9. 농촌진흥청. 2003. 농사시험조사기준 838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