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점막하층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수술 방법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and Surgical Strategy for Patients with Submucosal Gastric Carcinomas

  • 박찬용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서경원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주재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박영규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류성엽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형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동의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영진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ark Chan Yong (Department of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Seo Kyoung Won (Department of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Joo Jai Kyun (Department of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Park Young Kyu (Department of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Ryu, Seong Yeob (Department of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im Hyeong Rok (Department of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im Dong Yi (Department of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im Young Jin (Department of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발행 : 2005.06.01

초록

목적: 조기위암은 진행위암에 비해 월등히 좋은 예후를 보인다. 조기위암의 5년 생존율은 현재 $90\%$를 상회하며 치료가 가능한 암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조기위암에서 중요한 예후인자는 림프절 전이의 존재 여부이다. 요즘 조기 위암에 대해 보존적 술식이 제안되고 있지만 각 개인에 있어서 적절한 술식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후향적 연구는 점막하층암에서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 임상병리학적 형태와 림프절 전이와 관련된 인자들을 명확히 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1981년부터 1999년 사이에 수술을 받았던 점막하층암(I군) 279예의 임상병리학적 특징을 점막암(II군), 근육층암(III군)과 비교한 것이다. 각 군들 간에 나이, 성별, 종양의 위치, 간 전이 여부, 복막파종 여부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과: 림프절 전이는 점막하층암 279명 중 47명($16.8\%$)에서 보였다. 점막하층암에서 림프절 전이는 점막에서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16.8\%\;vs.\;3.9\%$; P<0.01). 점막하층암(I군)에서 5년 생존율은 $88.6\%$이며 점막암(II군)과 근육층암(III군)에서는 각각 $95.2\%$$72.7\%$였다(I군 vs. II군, I군 vs. III군; P<0.01). 점막하층암 환자에서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생존율은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불량하였다($82.2\%\;vs.\;93.6\%$; P<0.01). 결론: 점막하층암에서 림프절의 전이유무가 중요한 예후인자이므로 D2 림프절 곽청술을 포함한 위절제술이 점막 하층암 환자에서 적절한 수술적 방법으로 사료된다. 예후 인자라고 할 수 있다. STI-571은 재발 혹은 전이 환자에 있어 치료 효과를 나타내므로 술후 치료에 적용하는 것이 예후 향상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한 검사로 환자의 일반적인 상태를 반영하며, 특히 혈소판 증가증, 혈청 알부민 감소, 빈혈 등이 나타난 경우 병의 예후가 나쁠 것임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서는 C/C 116($40\%$), C/T 103$40\%$), T/T 68($24\%$)이었다(P=0.045). 암의 위치에 따른 MTHFR유전자형의 분포는 위 하부에서 C/C 16($28\%$), C/T & T/T 42($77\%$)이었고, 위 중부 및 상부에서 C/C 2($5\%$), C/T & T/T 36($75\%$) 이었다(P=0.006). 환자군 내에서 흡연력 유무에 따른 MTHFR유전 자형의 분포는 흡연력이 있을 때 C/C 13($23\%$), C/T & T/T 43($77\%$)이었고, 흡연력이 없을 때 C/C 5($12\%$), C/T & T/T 35 ($88\%$)였다(P=0.189). 환자군 내에서 음주력 유무에 따른 MTHFR유전자형의 분포는 음주력이 있을 때 C/C 12($26\%$), C/T & T/T 33($74\%$)이었고, 음주력이 없을 때 C/C 6($12\%$), CT & T/T 45($88\%$)였다.(P=0.063). 결론: 본 연구에서는 MTHFR C/T & T/T 유전자 다형성이 위암의 발생과 그 위치에 대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흡연력, 음주력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Purpose: Early gastric cancer (EGC) has an excellent prognosis compared to advanced gastric cancer. The 5-year survival rate for EGC now exceeds $90\%$, and EGC is recognized as a curable malignancy. The important prognostic factor in EGC is the status of lymph-node metastasis. Despite conserving surgery being suggested for EGC at present, it is of vital importance to select a surgical method appropriate to each individual case.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undertaken to clarify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factors related to lymph-node metastasis in submucosal gastric cancer in order to determine an appropriate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for 279 patients with a submucosal gastric carcinoma (Group I) and compared with those of patients with mucosal (Group II) or muscularis proprial gastric carcinoma (Group III). All patients were operated on from 1981 to 1999 at Chonnam University Hospital.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with respect to age, gender, tumor location, hepatic metastasis, or peritoneal dissemination. Results: Positive lymph node metastasis was found in 47 ($16.8\%$) of the 279 patients with a submucosal gastric carcinoma. The incidence of lymph-node metastas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 submucosal gastric carcinoma than in patients with a mucosal gastric carcinoma ($16.8\%\;vs.\;3.9\%\;$; P<0.01). Therefore, depth of invasion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in lymph-node metastasis. The 5-year survival rates were $88.6\%$ for patients in Group I, $95.2\%$ for patients in Group II, and $72.7\%$ for patients in Group III (P<0.01 for Group I vs. Group II; Group I vs. Group III). In patients with a submucosal gastric carcinoma, the survival rate with positive lymph nodes was significantly poorer than that of patients without lymph-node metastasis ($87.3\%\;vs.\;94.2\%$; P<0.01). Conclusion: Gastrectomy with D2 lymph node dissection is an appropriate operative procedure for patients with a submucosal gastric carcinom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