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rrmann 4형 진행위암과 같은 형태를 보인 호산구성 위염(Eosinophilic Gastritis) 1예

A Case of Eosinophilic Gastritis Mimicking Borrmann Type-4 Advanced Gastric Cancer

  • 신현욱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한국위암센터) ;
  • 서병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한국위암센터) ;
  • 유항종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한국위암센터) ;
  • 이혜경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해부병리학과) ;
  • 김진복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한국위암센터)
  • Shin Hyun-Wook (Korea Gastric Cancer Center of Anatomical Pathology, Seoul Paik Hospital, Inje Medical College) ;
  • Suh Byoung-Jo (Korea Gastric Cancer Center of Anatomical Pathology, Seoul Paik Hospital, Inje Medical College) ;
  • Yu Hang-Jong (Korea Gastric Cancer Center of Anatomical Pathology, Seoul Paik Hospital, Inje Medical College) ;
  • Lee Hye-Kyung (Korea Gastric Cancer Department of Anatomical Pathology, Seoul Paik Hospital, Inje Medical College) ;
  • Kim Jin-Pok (Korea Gastric Cancer Center of Anatomical Pathology, Seoul Paik Hospital, Inje Medical College)
  • 발행 : 2005.03.01

초록

호산구성 위장관염은 아직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드문 질환으로 1937년 Kaijer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으며, 1961년 Ureles 등은 광범위한 장관 내의 호산구 침윤으로 인한 장관의 비후, 부종 등을 보이는 미만형과 가성종양이나 용종의 형태로 장폐쇄를 흔히 일으키는 국한형으로 분류하였다. 1970년에 Klein 등은 미만형을 호산구가 주로 침윤한 장관병의 층에 따라서 점막하층형, 근육층형, 장막하층형 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호산구성 위장관염에 대하여 Talley가 제시한 진단기준에 의하면 첫째, 위장관 증상이 있고 둘째, 식도에서 대장까지의 위장관에 대한 조직 생검에서 한 곳 이상의 호산구 침윤이 있으며 셋째, 소화기 외에 여러 장기에 호산구 침윤이 있으며 넷째, 기생충 감염의 증거가 배제되어야 한다. 식도와 직장까지 소화관 어디든지 발병할 수 있으나 위장과 근위부 소장이 호발 부위이다. 호산구성 위장관업의 증상은 종종 급성 복증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급성 충수돌기염, 폐쇄성 맹장병변, 치료에 반응을 않는 거대한 십이지장 궤양, 또는 장중첩증, 출혈 등의 급성 합병증을 동반하거나, 진단이 확실치 않는 경우, 악성종양과의 감별을 요할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증례: 59세 남자 환자로서 내원 3주 전부터 시작된 식후 구토를 주소로 내원하여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3회에 걸친 위내시경 조직검사 상 섬유소성 괴사와 육아조직, 섬유성 반흔형성을 동반한 만성궤양성위염 및 호산구 침윤 소견을 보여서, 위장의 수출부 폐쇄를 동반한 Borrmann 4형 위암으로 의심하고 위전절제술 및 D2 림프절 과청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병리 조직 검사상 고유근층의 저명한 비후성 반흔을 동반한 호산구성 위염, mural type으로 진단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특별한 이상 소견 없이 퇴원 하였다.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is a rare clinicopathologic entity of unknown etiology with a variety of digestive symptoms. The pathogenesis is poorly understood. Diagnostic criteria include demonstration of eosinophilic infiltration of the affected bowel wall, lack of evidence of extraintestinal disease, and exclusion of various disorders that could mimic similar conditions. The disease might involve any area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from the esophagus to the rectum, but the stomach and the proximal small bowel are most commonly affected. The clinical features depend on which layer and site are involved. We report the case of a 59-year-old male patient with a 3-week history of post-prandial vomiting with malnutrition and weight loss. An abdominopelvic CT showed a gastric outlet obstruction with diffuse wall thickening, as with linitis plastica. Three gastrofiberscopic biopsies showed chronic gastritis. We carried out a radical total gastrectomy with D2 lymph node dissection. The pathologic report revealed a mural type eosinophilic gastritis with a marked hypertrophic scar formation at the proper muscle layer.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5;5:47-51)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