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분문부 및 식도암 환자에서 경열공 식도절제술

Transhiatal Esophagectomy in Cardia and Esophageal Cancer

  • 최동휘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정경원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동헌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Choi Dong-Hui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ung Kyoung-Won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Dong-Heon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5.03.01

초록

목적: 현재 위분문부 및 식도암에 대한 근분 치로 원칙은 수술적 치료이며, 이에 대한 방법으로는 기존에는 주로 개흉을 요하는 McKeown술식(transthoracic esophagectomy, TTE)을 시행하였으나 최근에는 개흉술을 시행하지 않고 경열공을 통한 식도절제술(transshiatal esophagectomy, THE)도 많이 시행하고 있다. 이에 최근 본원에서 시행한 TTE와 THE의 임상 및 병리 결과를 분석하여 봄으로써 기존의 TTE에 대한 THE의 유용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상 및 방법: 최근 10년간 부산대학교병원에서 식도 및 위분문부암으로 진단 받고 수술적 치료를 받은 52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결과: 총 52예 중 20예에서 TTE를 32예에서 THE를 시행하였다. TTE는 중간부식도암 12예, 하부식도암 8예에서 시행되었고, THE는 중간부식도암 7예, 하부식도암 15예, 위분문부암 10예에서 시행되었다. TTE 후 식도대체장기로는 17예에서 위를, 3예에서 대장을 사용했으며, THE에서는 29예에서 위를, 3예에서 대장을 사용하였다. 술 후 합병증은 TTE를 시행한 13예(폐렴, 흉수 등 호흡기게 합병증 5예, 문합부유출 3예, 간병증 2예, 창상감염 1예, 패혈증 1예)에서, THE를 시행한 19예(문합부협착 13예, 흉수 3예, 문합부유출 1예, 창상감염 1예, 회귀후두신경마비 1예)에서 발생했다. 술 후 치료기간 동안 사망한 예는 TTE에서 1예 있었다. 수술 후 입원기간은 TTE에서 평균 25.6일, THE에서 20.6일 이었다. 결론: THE가 수술 이환율(morbidity)과 사망률(mortality)이 낮고 술식이 간편하여 시행하기가 용이하여 기존의 개흉을 통한 TTE 술식과 비교했을 때 식도절제를 요하는 대부분의 암환자들에게 유용한 술식이라 하겠다.

Purpose: The debate is still on-going as to whether a transthoracic esophagectomy (TTE) or a transhiatal esophagectomy(THE) is the proper treatment for patients with cardia and esophageal cancers. This study tries to demonstrate and assess the efficacy and the validity of both surgeries. Materials and Methods: In a retrospective study, data from 52 cases of patients with esophageal and/or cardia cancer who received a surgical operation during the last decade were analyzed. Results: A TTE was done in 20 cases and a THE in 32 cases. The average times for the operations were 558.0 min for a TTE and 451.7 min for a THE (P>0.05). The estimated blood loss was 1,825.0 ml in a TTE and 1459.4 ml in a THE (P>0.05). The amounts of transfusion during the operations were 3.9 units in a TTE and 2.6 units in a THE (P<0.05).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15 cases of TTE and 23 cases of THE. The average length of stay in the hospital was 25.6 days for a TTE and 20.6 days for a THE. The 5-year survival rate was $10\%$ for TTE patients and $28\%$ for THE patients (P>0.05). Conclusion: For most factors, including morbidity and mortalit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TTE and a THE. However, a THE is expected to be more convenient, leading to a shorter operative duration, a shorter post-operative hospitalization and lesser amounts of hemorrhage and transfusion. Hence, the THE may be a more valid or efficient surgical method for those patients with cardia and esophagus cancer who require a resection of the esophagus.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5;5:1-9)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