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하악골 우각부 영상확대 및 이의 보정에 관한 3차원 CT영상 연구

Three-dimensional CT image study on the correction of gonial angle width enlarged on frontal cephalogram

  • 황현식 (전남대학교 치의학연구소,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은춘선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황정현 (한국성인교합연구소) ;
  • 임회정 (전남대학교 치의학연구소,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Hwang, Hyeon-Shik (Department of Or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Dent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Eun, Chun-Sun (Department of Or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Hwang, Chung Hyon (Korean Adult Occlusion Study Center) ;
  • Lim, Hoi-Jeong (Department of Or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Dent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5.08.01

초록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은 작은 크기의 방사선원에서 방사상으로 방사선이 퍼져나감으로써 피사체의 확대와 왜곡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두 장의 방사선사진을 서로 직각으로 촬영한 후 방사선의 기하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좌우 우각부간 폭경을 계산할 경우 실제 폭경의 산출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성인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두부자세재현기를 이용하여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과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서로 직각으로 촬영한 후 측모사진과 정모사진에서의 확대율을 이용하여 실제 우각부 폭경을 산출한 다음 계측치 및 산출치를 3차원 CT영상에서의 계측치와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우각부 폭경은 작게는 7.92mm 크게는 11.31mm까지. 평균 9.10mm의 확대를 보였다.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얻은 우각부 폭경 보정치를 3차원 CT영상에서 얻은 기준치와 비교한 결과 평균 0.14mm의 작은 오차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촬영 시 두부자세재현기를 이용하여 서로 직각으로 촬영할 경우 실제 우각부 폭경을 계산을 통해 산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이부편위량과 보정오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아 안면비대칭이 심한 경우에도 본 보정 방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Enlargement is an inherent property of X-rays which occurs when straight hues diverse from small a focal spo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correction of gonial angle width enlarged on frontal cephalogram, using frontal and lateral cephalograms taken orthogonally from each other. In 40 adult individuals, frontal and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at a $90^{\circ}$ angle using the Head Posture Aligner. The angle width was measured on the frontal cephalogram and subsequently. the corrected angle width was calculated using the magnification rate of two cephalograms. Measured and corrected angle widths were compared with the measurement from the 3D CT image. The measurement or the frontal cephalogram showed a 9.10mm of enlargement on average ranging from 7.92 to 11.31mm. Corrected angle width measurement showed a 0.14mm difference with the 3D CT image measurement,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ctual au91e width can be approached through calculation using frontal and lateral cephalograms taken orthogonally with the help of the Head Posture Aligner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magnitude of correction error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menton deviation, and it suggests that the present correction method is valid even in individuals with severe facial asymmetry.

키워드

참고문헌

  1. Broadbent BH. A new x-ray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 to orthodontia. Angle Orthod 1931;1 :45-66
  2. Bergersen EO. Enlargement and distortion in cephalometric radiography: compensation tables for linear measurements. Angle Orthod 1980:50:230-44
  3. Ahlqvist J, Eliasson S, Welander U. The cephalometric projection: Part II. Principles of image distortion in cephalographv. Dentomaxillofac Radiol 1983:12:101-8 https://doi.org/10.1259/dmfr.1983.0017
  4. Baumrind S, Frantz RC. The reliability of head film measurements: 1. Landmark identification. Am J Orthod 1971;60:111-27 https://doi.org/10.1016/0002-9416(71)90028-5
  5. Baumrind S, Frantz RC. The reliability of head film measurements: 2. Conventional angular and linear measures. Am J Orthod 1971;60:505-17 https://doi.org/10.1016/0002-9416(71)90116-3
  6. 황현식. 안면비대칭 진단을 위한 영상분석 시스템 개발 보건의료인프라 기술개발사업 1차년도 연구보고서,2003
  7. 박지영. 측모두부방사선사진과 측면얼굴사진 중첩 시 적합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8. 구본찬. 두부방사선규격사진과 광학사진의 중첩적합도에 관한 측면 합성영상과 정면 합성영상의 비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9. 고은희, 이기헌,황현식.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촬영시 두부의 수직회전에 따른 투사오차. 대치교정지 2003;33:73-84
  10. Ricketts RM, Bench RW, Hilgers JJ, Schulhof R. An overview of computerized cephalometries. Am J Orthod 1972;61:1 -28 https://doi.org/10.1016/0002-9416(72)90172-8
  11. Betts NJ, Vanarsdall RL, Barber HD, Higgins-Barber K, Fonseca RJ, Diagnosis and treatment of transverse maxillary deficiency.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995;10;75-96
  12. Vannier MW, Marsh JL, Warren JO. Three dimensional CT reconstruction images for craniofacial surgical planning and evaluation. Radiology 1984;150:179-84 https://doi.org/10.1148/radiology.150.1.6689758
  13. Fuhrmann RA, Schnappauf A, Diedrich PR. Three-dimensional imaging of craniomaxillofacial structures with a standard personal computer. Dentomaxillofac Radiol 1995;24:260-3 https://doi.org/10.1259/dmfr.24.4.9161172
  14. Vannier MW, Hildebolt CF, Conover G, Knapp RH, YokoyarnaCrothers N, Wang G. Three-dimensional dental imaging by spiral CT: A progress repor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7;84:561-70 https://doi.org/10.1016/S1079-2104(97)90274-2
  15. 황현식. 안면비대칭 진단을 위한 악안면 3차원 영상분석. 대치협회지 2004;42:76-83
  16. 김은희, 황현식.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촬영시 Head Posture Aligner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2000:30:543-52
  17. 황현식,이기헌, 박지영,강병철,박재우, 이종석. 안면비대칭 진단을 위한 새로운 정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시스템 개발. 대치협회지 2004;42: 21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