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지역 마가목 자생임지의 식생조성과 구조

Vegetation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Sorbus commixta -Native Forests in South Korea

  • 조현제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최명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 Cho Hyun-Je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i Myung-Sub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발행 : 2005.09.01

초록

남한지역의 마가목 자생임지를 대상으로 군락생태학적 측면에서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그 식생조성과 구조가 연구되고, 추출된 각 식생단위에 대한 몇 가지 생태학적 특성(층별 피도, 종상관, 군락 유사성, 상대중요치, 군락다양성, 군락상재도 등)이 분석되었다. 남한지역에서의 마가목 자생임지의 식생유형은 크게 내륙고산의 미역줄나무-신갈나무형(군락군수준)과 울릉도의 섬단풍-너도밤나무형(군락군수준)으로 구분되었으며, 10개의 식생단위가 수반되었다. 생육형별 종상관에서는 120개의 상관 중 교목은 23개, 관목은 21개, 만목은 10개 그리고 초본은 25개가 ${\le}1\%$ 수준에서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마가목을 중심으로 한 생육형별 종상관을 보면, 교목류는 섬단풍, 섬피나무 등이 ${\le}1\%$, 관목류는 섬조릿대. 작살나무, 섬쥐똥나무 등이 ${\le}5\%$, 만목류는 미역줄나무, 다래 등이${\le}1\%$, 그리고 초본류는 큰두루미꽃, 울릉미역취 등이 ${\le}41\%$ 유의수준에서 각각 정의 관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한국산 마가목의 자연지리적 연구와 유용자원식물인 마가목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이용에 있어서 효율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Vegetation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Sorbus commixta - native forests of South Korea were studied using phytosociological procedures and its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alyzed with special respect to species correlations, importance values, and constancy classes. Vegetation types were divided (great division) into Tripterygium regelii - Quercus mongolica (Inland high mountain type) and Acer takesimense - Fague crenata var. multinervis (Ulleung Island type) and ten accompanying vegetation units. In between S. commixta and life-farms, 120 correlations were positive with 23 of these having a p-value < 0.01 for trees, 21 for shrubs, 10 for woody vines, and 25 for herbs. In tree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 commixta and A. takesimense and T. insularis on the $1\%$ level. In shrub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 commixta and Sasa kurilensis, Callicarpa japonica, Ligustrum foliosum on the $5\%$ level. In woody vine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 commixta and Tripterygium regelii and Actinidia rufa on the $1\%$ level. In herb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 commixta and Majanthemim dilatatum and Solidago virga-aurea var. gigantea on the $1\%$ leve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