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성 잡음에서 최적 갈퀴수신기와 준최적 갈퀴수신기의 성능

Performance of Optimum and Suboptimum Rake Receivers in the Presence of Impulsive Noise

  • 김병수 (한국과학기술원 테크노경영대학원) ;
  • 최상원 (한국과학기술원 전자전산학과) ;
  • 권형문 (한국과학기술원 전자전산학과) ;
  • 배진수 (세종대학교 전자정보통신공학부) ;
  • 송익호 (한국과학기술원 전자전산학과)
  • 발행 : 2005.09.01

초록

이 논문에서는 충격성 잡음 감쇄 채널에서 가장 비슷함을 바탕으로 최적 갈퀴수신기를 이끌어 내고, 얼개가 간단한 준최적 갈퀴수신기를 얻는다. 잡음이 충격성이면 충격성 환경을 고려한 갈퀴수신기가 정규 잡음에 최적화된 갈퀴수실기보다 성능이 좋다는 것을 모의실험으로 보인다. 또한, 갈퀴수신기의 가락 수가 늘어날수록, 충격성 환경에 알맞게 만든 갈퀴수신기는 성능이 나아지지만, 정규 잡음에 최적화된 갈퀴수신기는 충격성 환경에서 성능이 떨어짐을 보인다.

In this paper, the optimum maximum-likelihood rake receiver for impulsive, fading channel is derived, and a sub-optimun rake receiver with reduced complexity is obtained for practical purposes. Numerical results show that, when the noise is impulsive, the rake receivers designed for impulsive noise offer performance improvement over those optimized for Gaussian environment. It is also observed that, as the number of fingers increases, the performance of the rake receivers designed for impulsive environment improves while the rake receiver optimized for Gaussian environment experiences performance degradation in impulsive environ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양석철, 신요안, '실내 무선 환경에서 PN부호 기반 시간 도약 시퀀스를 이용하는 BPM UWB 다원 접속 시스템의 성능 분석,' 한국통신학회논문지, 29권, 187-198쪽, 2004년 2월
  2. V. Lottici, A. Andrea, and U. Mengali, 'Channel estimation for ultra-wideband communications,' IEEE J. Select. Area Comm., vol. 20, pp. 1638-1645, Dec. 2002 https://doi.org/10.1109/JSAC.2002.805053
  3. A. F. Molisch, M. Z. Win, and J. H. Winters, 'Reduced-complexity transmit/receive-diversity systems,' IEEE Trans. Signal Process., vol. 51, pp. 2729-2738, Nov. 2003
  4. B. Hu and N. C. Beaulieu, 'Accurate evaluation of multiple-access performance in TH-PPM and TH-BPSK UWB systems,' IEEE Trans. Comm., vol. 52, pp. 1758-1766, Oct. 2004 https://doi.org/10.1109/TCOMM.2004.836424
  5. G. A. Tsihrintzis and C. L. Nikias, 'Incoherent receiver in alpha-stable impulsive noise,' IEEE Trans. Signal Process., vol. 43, pp. 2225-2229, Sep. 1995
  6. C. L. Nikias and M. Shao, Signal Processing with Alpha-Stable Distributions and Applications, Wiley, 1995
  7. 박철훈, 송익호, 남동경, 확률과정, 생능출판사, 2004
  8. 김인종, 이주미, 최상원, 박소령, 송익호, '충격성 잡음의 이동 평균 모형에서 약신호 검파,' 한국통신학회논문지, 30권, 523-531쪽, 2005년 6월
  9. A. F. Molisch, J. R. Foerster, and M. Pendergrass, 'Channel models for ultrawideband personal area networks,' IEEE Wireless Comm., vol. 10, pp. 14-21, Dec. 2003 https://doi.org/10.1109/MWC.2003.1265848
  10. 김용석, 서성진, 황금찬, '비동기 DS-CDMA 시스템에서 RAKE 수신기를 채용한 적응형 CM 배열 안테나,' 한국통신학회논문지, 29권, 601-610쪽, 2004년 5월
  11. I. Song, J. Bae, and S. Y. Kim, Advanced Theory of Signal Detection, Springer-Verlag, 2002
  12. 박소령, 권형문, 배진수, 최상원, 이주미, 송익호, '신호 검파 문제에 쓰는 모수와 비모수 검정 통계량 사이의 상관계수,' 한국통신학회논문지, 30권, 541-550쪽, 2005년 6월
  13. 박소령, 구진규, 오종호, 권형문, 송익호, '약한 다진 신호에 알맞은 결정 기준: 1부. 결정 기준과 결정 영역,' 한국통신학회논문지, 30권, 쪽, 2005년 9월
  14. R. Kapoor, A. Banerjee, G. A. Tsihrintzis, and N. Nandhakumar, 'UWB radar detection of targets in foliage using alpha-stable clutter models,' IEEE Trans. Aerosp., Electron. Systems, vol. 35, pp. 819-834, July 1999 https://doi.org/10.1109/7.784054
  15. T. C. Chuah, B. S. Sharif, and O. R. Hinton, 'Nonlinear decorrelator for multiuser detection in non-Gaussian impulsive environments,' Electron. Lett., vol. 36, pp. 920-922, May 2000 https://doi.org/10.1049/el:20000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