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Flora of Mulgun-ni and Mijo-ri Windbreak Forests in Namhaegun, Kyungsangnamdo

경상남도 남해군 물건리$\cdot$미조리 방풍림의 식물상연구

  •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Shik (Faculty of Natural Resources,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 Koh Myong-Hee (Gyeryongsan National Park)
  • 오현경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과) ;
  • 김용식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자연자원학부) ;
  • 고명희 (계룡산국립공원)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The flora was summarized as 176 taxa; 66families, 135genera, 147species,25varieties and 4forms in Mulgun-ni Windbreak Forest and 1531axa; 63families, 123genera, 138species, 13varieties and 2forms in Mijo-ri Windbreak Forest. The Specific Plant Species which is categorized by the Minisoy of Environment, Korea, was summarized as 24 taxa for the Degree I and 3 taxa for the Degree III in Mulgun-ni Windbreak Forest: Eusraphis japonica(Staphyleaceae), Aphananthe aspera(Ulmaceae), Ficus erecta(Moraceae), Puccinellia coreensis (Gramineae), Rhus succedanea(Anacariaceae), Koelreuteria paniculata(Sapindaceae) and 28 taxa for the Degree 1 and 7 taxa for the Degree III in Mijo-ri Windbreak Forests: Castanopsis cuspidata val. sieboldii(Fagaceae), Rubus h irsutus(Rosaceae), Elaeagnus macrophylla(Elaeagnaceae), Cinnamom urn japonic urn (Lauraceae), flex integra (Aquifuliaceae) and Lazoste lancEyolia(Lauraceae). From the enlisted vascular plants surveye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7 taxa in Mulgun-ni Windbreak Forest and 9 taxa in Mijo-ri Windbreak Forests with the Naturalization Index was 9.7 percent and 5.9 percent respectively.

본 조사 지 역의 식물상은물건리 방풍림에서 66과 135속 147종 25변종4품종총 176분류군이, 미조리 방풍림에서는63과 123속 138종 13변종2품종 총 15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환경부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살펴보면, 물건리 방풍림에서 I 등급은 말오줌때,푸조나무, 천선과나무 등24분류군, n등급은 갯걱이삭, 검양옻나무, 모감 주나무 3분류군 등 총 27분류군으로 분석되었으며, 미조리 방풍림에서는 I 등급이 구실잣밤나무,장딸기,보리밥나무등28분류군,르등급에는 생달나무,감탕나무,육박나무 등7분류군등총3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에는 물건리 방풍림에서 17분류군, 미조리 방풍림에서 9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귀화율은 각각$9.7\%,5.9\%$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상남도(1994) 방풍림 관리실태 및 보존대책-방풍림 조성의 역사적 배경과 기능분석-. 9-22, 61-94
  2. 기상청(2000) 기상연보. 기상청관측소
  3. 김철환(1999) 제2차 전국자연환경 조사 지침-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포함한 식물상-. 환경부. 244쪽
  4. 문창국, 김삼식(1977) 남해도의 천연기념수림과 그 수종. 한국조경학회지 5(2): 45-50
  5. 문화재관리국(1993) 천연기념물수림지 생태계조사보고서. 52-69
  6. 박선주, 박성준(2004) 소록도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4): 392-398
  7.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184쪽
  8. 이기문(1994) 동아새국어사전. 동아출판사. 829쪽
  9. 이정환, 손영모, 김점수, 이광수, 정원옥, 김삼식(1998)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 구조와 식물상. 경상대학교 농과대학 부속연습림 연구보고 8: 29-48
  10. 이창복(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11. 최두문, 박원규(1985) 한국의 느티나무림에 대하여. 공주사대 과학교육연구 17: 93-102
  12. 환경청(1985) 환경보전을 위한 자연생태계 전국조사사업(I)-산청.하동.남해지역의 표본조사. 337-340
  13. 沒田眞(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ライブリ-13.大日本圖書. 16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