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mr-Tree : An Efficient Spatial Index Technique in Main Memory Databases

Tmr-트리 : 주기억 데이터베이스에서 효율적인 공간 색인 기법

  • 윤석우 (홍익대학교 컴퓨터 공학과) ;
  • 김경창 (홍익대학교 컴퓨터 공학과)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As random access memory chip gets cheaper, it becomes affordable to realize main memory-based database systems. The disk-based spatial indexing techniques, however, cannot direct apply to main memory databases, because the main purpose of disk-based techniques is to reduce the number of disk accesses. In main memory-based indexing techniques, the node access time is much faster than that in disk-based indexing techniques, because all index nodes reside in a main memory. Unlike disk-based index techniques, main memory-based spatial indexing techniques must reduce key comparing time as well as node access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spatial index structure for main memory-based databases, called Tmr-tree. Tmr-tree integrates the characteristics of R-tree and T-tree. Therefore, Nodes of Tmr-tree consist of several entries for data objects, main memory pointers to left and right child, and three additional fields. First is a MBR of a self node, which tightly encloses all data MBRs (Minimum Bounding Rectangles) in a current node, and second and third are MBRs of left and right sub-tree, respectively. Because Tmr-tree needs not to visit all leaf nodes, in terms of search time, proposed Tmr-tree outperforms R-tree in our experiments. As node size is increased, search time is drastically decreased followed by a gradual increase. However, in terms of insertion time, the performance of Tmr-tree was slightly lower than R-tree.

최근 들어 계속되는 램 가격 하락으로 인해 대용량의 램을 사용하는 주기억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축이 실현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디스크 기반 공간 색인 기법은 디스크 접근 시간만을 주로 고려하기 때문에, 주기억 색인 기법으로 디스크 기반 색인 기법을 직접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은 부적절하다. 주기억 장치 색인 기법은 모든 색인 노드들이 주기억 장치에 상주하기 때문에 노드에 대한 접근 시간이 디스크 기반 기법에 비해 상당히 미미하고, 결국 효율적인 색인 기법을 위해서는 노드 접근시간 뿐만 아니라 노드내의 키 비교시간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주기억 장치 색인 기법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Tmr-트리라는 새로운 색인 기법을 제시한다. Tmr-트리는 T-트리의 장점과 R-트리의 장점을 결합한 이진 색인 구조로서, 색인 노드는 데이터 객체들을 위한 엔트리들, 왼쪽/오른쪽 자식 노드에 대한 포인터, 그리고 3개의 추가 필드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3개의 추가 필드들은 현재 노드에 저장된 키 값들의 범위를 포함하는 MBR과 왼쪽 서브트리에 저장된 키 값들의 범위를 포함하는 MBR, 오른쪽 서브트리에 저장된 키 값들의 범위를 포함하는 MBR에 해당한다. 본 논문의 실험에서 Tmr-트리는 R-트리와 달리 검색 시 항상 리프노드까지 방문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모든 데이터 분포에서 R-트리에 비해 더 나은 실험 결과를 보여주었다. 노드 크기 측면에서 노드안 엔트리 수를 증가시킨 초반에 상당한 검색성능 향상을 보여주었으며, 그 후로 약간씩 검색시간 증가를 나타냈다. 한편, 삽입시간 측면에서 Tmr-트리는 R-트리에 비해 약간의 더 많은 삽입시간이 필요했다.

Keywords

References

  1. David J. Randy H. Katz, Frank Olken, Leonard D. Shapiro, Micheal R. Stonebraker, David Wood 'Implementation Techniques for Main Memory Database Systems', In Proc. of ACM SIGMOD, Boston, 1984 https://doi.org/10.1145/602259.602261
  2. Voler Gaede, Oliver Gunther, 'Multidimensional access Methods', ACM Computing Surveys, Vol.30, No.2, June, 1998 https://doi.org/10.1145/280277.280279
  3. Guttman, A. 'R-tree: A dynamic index structure for spatial searching', In Proceedings of the ACM SIGMO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agement of data, 1984 https://doi.org/10.1145/602259.602266
  4. N. Beckmann, H.-P. Kriegel, R. Schneider, and B. Seeger, 'The R*-tree: An Efficient and Robust Access method for Points and Rectangles', In Proc. ACM SIGMO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agement of Data, pp.332-331, 1990 https://doi.org/10.1145/93597.98741
  5. T. Sellis, N. Roussopoulos, and C. Faloutsos, 'The R+-tree: A dynamic index for multidimensional objects', In Proc. 13th Int. conference on Very Large Databases, pp.507-518, 1987
  6. Tobin J. Lehman, Michael J. Carey 'A Study of Index Structures for Main Memory Database Management Systems', in Proceedings 12th Int'l. conf. on Very Large Databases, kyoto, pp.294-303, Aug., 1986
  7. 최공림, 김경창, 김기룡, 'T*-트리 : 주기억 데이터베이스에서의 효율적인 색인기법' 한국통신학회 논문지, 제21권 제10호, 1996
  8. P. Bones, S. Manegold, and M. Kersten, 'Database Architecture Optimized for the New Bottleneck: Memory Access', Procddeings of VLDB Conference, 1999, pp.54-56
  9. Hongjun Lu, Yuet Yeung, Ng Zengping, 'T-Tree or B-Tree : Main Memory Database Index Structure Revisited', Australasian Database Conference, 2000 https://doi.org/10.1109/ADC.2000.819815
  10. J. Rao, K.A. Ross, 'Making B+-Tree Cache Conscious in Main Memory', ACM SIGMOD, May, 2000 https://doi.org/10.1145/342009.335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