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al Characteristic of Cyanobacterial Bloom in Lake Daecheong

대청호의 남조세균 수화 발달 특성

  • 박종근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국제수돗물종합검사센터)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l bloom in Korean lakes of the summer is generalized. The characteristic of cyanobacterial community was explored. And the developmental stage of cyanobacterial bloom was divided into three phases, 'preparatory phase', 'bloom phase' and 'extinction phase' Cyanobacterial bloom started during the end of June at site 1, transition Bone of Lake Daecheong. The period of water bloom in normal year was about 60~70 days at site 4, lacustrine Bone, but it was unusually 11 days from July 19 in 1999. M. aerugilnosa first occurred in June, had a peak of standing crop curve from the end of August to the beginning of September in 1998 and 2002 and the end of July in 1999 and 2001. The standing crop of M. aeruginosa occupied $68.1\%$ of phytoplankton, $74.2\%$ of cyanobacteria and $88.8\%$ of genus Microcystis, Anabaena spp. first occurred in April, was above 10,000 cells $mL^{-1}$ from the end of August to about the middle of September in 1998. The effect of rainfalls on cyanobacterial bloom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hases. The rainfalls of preparatory phase assist the growth of cyanobacteria, but accelerate the decrease of cyanobacteria in extinction phase. In bloom phase, the heavy rainfalls reduce the development of the bloom, while the slight ones display only a little effects.

대청호 남조세균 수화 기작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1997년부터 2002년까지 (2000년 제외)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남조세균 군집 특성을 해석하고 수화 발달 단계를 3단계로 구분하여 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남조세균 수화의 시작은 6월 하순부터 시작하며, 강과 호소의 중간 성향을 가진 정점 1부터 발생하였다. 대청호의 수화 발생 기간은 댐축 앞 지점인 정점 4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약 $60\~70$일이었으나, 1999년의 경우는 7월 19일부터 11일로 이례적인 현상이었다. Microcystis aeruginosa은 6월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1998년과 2002년은 8월 말에서 9월 초, 1999년과 2001년은 7월 말에 절정을 이루었다. M. aeruginosa의 현존량이 처음 증가하는 시기는 1998년은 6월 22일, 1999년은 6월 28일,2001년은 7월 4일 그리고 2002년은 6월 25일로 모두 표층 수온이 $25^{\circ}C$를 넘는 시기였다. M. aeruginosa의 구성비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에 대해서는 $68.1\%,$ 남조세균에 대해서는 $74.2\%$, Microcystis속에 대해서는 $88.8\%$이었다. M. aeruginosa의 연도별 남조세균 대비 구성비는 1998년 $30.3\%,$ 1999년 $34.\6%,$ 2001년 $94.4\%,$ 2002년 $42.9\%$이었다. 1998년 Anabaenu spp.는 4월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여 8월 하순부터 9월 중순까지 정점에 따라 $1.0{\times}10^4\;cells\;mL^{-1}$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Anabaena속은 준비기에 남조세균 수화 추이에 한 축을 담당하고 있었다. 소멸기에서는 Anabaena spp., Oscillatorin spp., Aphanizomenon flos-aquae가 M. aeruginosa의 소멸을 대신하여 현존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조세균 수화에 미치는 강우의 영향은 시기별로 달라, 준비기의 강우는 남조세균 성장을 돕고, 소멸기의 강우는 남조세균의 소멸을 가속화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수화기에는 강우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수화 발달을 저해하였으나, 적을 경우에는 그 영향력이 낮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근, 서윤수, 송준상, 이문호, 최재덕, 박건현, 최광수. 1984. 대청호 부영양화에 관한 종합연구. 국립환경연구소. 192pp
  2. 김명운, 김민호, 조장천, 김상종. 1995. Cyanobacteria의 증식에 따른 대청호 생태계내의 생물군집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28:1-9
  3. 김명운, 김상종. 1997. 대청호 cyanobacteria 대발생 지역에서 환경요인의 일일 변화 및 탄소의 흐름. 한국육수학회지. 30:1-7
  4. 김철호, 이정호. 2000. 대청호 하루에서 환경요인과 Anabaena cylindrica 생장억제세균의 계절적 분포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33:128-135
  5. 김호섭, 김범철, 최은미, 황순진. 2000. 부영양호수에서 남조류 bloom이 동물플랑크톤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3:366-373
  6. 대청댐사무소댐관리단. 1997. 대청다목적댐관리연보: 1997. 한국수자원공사. 417pp
  7. 대청댐관리단. 1998. 대청다목적댐관리연보: 1998. 한국수자원공사. 451pp
  8. 대청댐관리단. 1999. 대청다목적댐관리연보: 1999. 한국수자원공사. 425pp
  9. 대청댐관리단. 2001. 대청다목적댐관리연보: 2001. 한국수자원공사. 393pp
  10. 박정원, 권덕기. 1998. 합천호에서 남조류 수화현상(녹조현상)의 초기 발생에 대한 연구, 1. 수계에서 Microcystis aeruginosa Kutz.의 현존량 증가와 ,$K^+$, $Na^+$, $Mg^{2+}$$Ca^{2+}$ 농도와의 상관관계. 한국육수학회지. 31:97-102
  11. 박혜경, 정원화, 권오상, 류재근. 2000. 팔당호에서 남조류 및 남조류생산 독성물질의 계절 변동. Algae. 15:29-35
  12. 오희목, 박준흥, 윤무환, 맹주선. 1997. 대청호 수화발생시 수중 인농도와 cyanobacteria의 다중인산염 분포 관계. 한국육수학회지. 30:97-106
  13. 오희목, 이석준, 박정호, 맹주선. 1998. 대청호 성층파괴시 cyanobacteria의 수직분포 및 세포내 인의 조성. 한국육수학회지. 31:54-61
  14. 이기종, 이일규, 한석균, 안태영. 1996. 대청호의 세균분포에 미치는 환경요인. 환경생물. 14:169-176
  15. 이정준, 이정호, 박종근. 2003. 대청호의 남조류 수화 발달과 환경요인 변화와의 상관관계. 한국육수학회지. 36:269-276
  16. 이정호. 2004. 댐저수지의 남조류 수화에 대한 간헐식 폭기 장치의 효과. Algae. 19:23-30 https://doi.org/10.4490/ALGAE.2004.19.1.023
  17. 이지민, 이정준, 박종근, 이정호, 장천영, 윤성명. 2005. 대청호 남조류 대발생기의 동물플랑크톤相 및 Microcystis aeruginosa와 물벼룩류 개체군 변동의 상관관계. 한국육수학회지. 38:146-159
  18. 정승현, 안치용, 최애란, 장감용, 오희목. 2005. 대청호에서 강우와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관계. 환경생물. 23:57-63
  19. 정원화, 전은형, 안태영. 2004. 물리.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Cyanobacteria와 식물플랑크톤 제어.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75-84
  20. 한국수자원공사. 2002. 대청다목적댐관리연보: 2002. 한국수자원공사. 419pp
  21. 환경부. 1995.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환경부고시 제95-9호
  22. 환경부. 2000.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환경부고시 제99-208호
  23. Ahn CY, HS Kim, BD Yoon and HM Oh. 2003. Influence of rainfall on cyanobacterial bloom in Daechung Reservoir. Korean J. Limnol, 36:413-419
  24. APHA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WWA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and WEF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Eaton AD, LS Glesceri and AE Greenberg eds.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1325pp
  25. Carmichael WW. 1994. The toxins of cyanobacteria. Sci. Am. 270:64-72 https://doi.org/10.1038/scientificamerican0194-64B
  26. Fay P. 1983. The blue-green. Edward Arnold, London. 88pp
  27. Henderson-Sellers Band HR Markland. 1987. Decaying lakes: The origins and control of cultural eutrophication (principles and techniques in the environmental science). John Wiley & Sons, Chichester. 264pp
  28. Hecky RE and P Kilham. 1988. Nutrients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freshwater and marine environments: A review of recent evidence on the effects of enrichment. Limnol. and Oceanogr. 33:796-822 https://doi.org/10.4319/lo.1988.33.4_part_2.0796
  29. Horne AJ and CR Goldman. 1994. Limnology. McGraw-Hill, New York. 480pp
  30. Klapper H. 1991. Control of eutrophication in inland waters. Ellis Horwood, New York. 337pp
  31. Komarek J and K Anagnostidis. 1999. SuBwasserflora von Mitteleuropa Cyanoprokaryota 1 Teil Chroococcales. Gustav Fisher, Germany. 548pp
  32. Mur LR, OM Skulberg and H Utkilen. 1999. Cyanobacteria in the environment. pp. 15-40. In Toxic cyanobacteria in water: A guide to their public health consequences, monitoring and management(Chorus I and J Bartram eds.). E & FN Spon, London
  33. Park SK and JH Kim. 1995. Cross correlation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water-bloom of Microcystis aeruginosa (Cyanophyta). Korean J. Limnol. 28:381-391
  34. Pearl HW. 1996. A comparison of cyanobacterial bloom dynamics in freshwater, estuarine and marine environments. Phycologia 35:25-35 https://doi.org/10.2216/i0031-8884-35-6S-25.1
  35. Prescott GW. 1962. Algae of the western great lakes area with an illustrated key to the genera of desmids and freshwater diatoms. WM. C. Brown Company Publisher, Dubuque. 977pp
  36. Schoen S. 1988. Cell counting. pp.16-22. In Experimental phycology: a laboratory manual (Lobban CS, DJ Chapman and BP Kremer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37. Sze P. 1993. A biology of the algae. Wm. C. Brown Publishers, Dubuque. 125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