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오길. 1990. 한국동식물도감 제32권(연체동물 I). 문교부. 446pp
- 권오길, 이준상. 1999. 한국의 동물. 연체동물 1: 부족강. 생명공학연구소. 대문사, 대전. 156pp
- 권오길, 민덕기, 이종락, 제종길, 최병래. 2001 신원색한국패류도감. 도서출판 한글, 부산. 332pp
- 길봉섭. 1976. 담수산 이매패류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분포와 형태변이. 한국육수학회지. 9:29-38
- 김덕만. 1969. 담수산 패류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제1보. 한강산 Lamprotula coreana와 L. gottschei의 분포 및 밀도에 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2:29-34
- 김안영. 1977. 담수산 이매패류에 관한 연구- I. 한강수역에 분포하는 종류에 관해서. 수산청 청평양어장 연구보고. 2:3-8
- 김재진. 1998. 한강 하류의 패류 분포상. 한국패류학회지. 14:161-166
- 김훈수, 박근배. 1972. 한국산 새우류의 분류학적 연구. 한국 생물상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처. 222pp
- 김훈수. 1973. 한국동식물도감 제14권. 집게.게류. 삼화주식회사. 694pp
- 김훈수, 최병래. 1982. 강화도 동부수도의 갑각십각류의 종의 구성 및 출현빈도의 년간변화. 한국자연보존협회. pp.313-323
- 김훈수, 윤성명, 신만균. 1987. 서울 지역 한강하류의 저서동물. 한강생태계 조사연구보고서. pp.213-264
- 김훈수, 윤성명, 김원. 1990. 제15회 한강의 담수 저서동물에 관한 연구조사. 한강생태계 조사연구보고서. pp.455-544
- 김훈수, 김원. 1997. 십각목. pp.212-223. In: 한국동식물명집 (곤충제외). 한국동물분류학회 아카데미서적
- 민기식, 김원. 1991. 강화도 동부수도의 갑각십각류의 동물상 및 생태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 연구보고서. pp.11-36
- 민덕기, 이준상, 고동범, 제종길. 2004. 한국패류도감 도서출판 한글, 부산. 566pp
- 박경수, 이영철. 1997. 건조기와 우기의 한강 수질 환경과 어류 군접 비교. 황해연구. 7:43-53
- 배경석, 김홍제, 김정영, 1995. 한강수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특성. 한국육수학회지. 28:475-486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 종합연구소. 1981. 한강수계의 생태학적 조사연구보고서. 289pp
- 유종생. 1969. 한강산 담수패류의 분포 및 현존량. 서울사대부고 연간조사서. 12:1-19
- 제종길, 노용태. 1987. 저질의 퇴적상에 따른 담수산 이매패류의 분포. 한국육수학회지. 20:251-263
- 조규송, 박정호. 심하식. 1994. 저서생물. In: 한강생태계 조사 연구. 서울특별시. pp.375-400
- 최병래, 염승식, 박중기, 윤숙희, 제종길. 1997. 연체동물문. pp.89-127. In: 한국동물명집(곤충제외). 한국동물분류학회. 아카데미서적
- 홍재상, 서인수. 1999. 강릉 남대천 하구역의 저서동물 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수산학회 춘계 공동학술대회 발표요지집. pp405-407
- Abott RT and KJ Boss, 1989. A classification of living Mollusca. American Malacologists, Inc., Melbourne. 195pp
- Bartels-Hardege HD, JD Hardege, E Zeeck, C Muller, BL Wu and MY Zhu. 1996. Sex pheromones in marine polychaetes V: a biologically active volatile compound from the coelomic fluid of female Neris (Neanthes) japonica (Annelida, Polychaeta). J. Exp. Mar. Biol. Ecol. 201:275-284 https://doi.org/10.1016/0022-0981(96)00009-3
- Caron A, G Desrosiers, G Miron and C Retiere. 1996. Comparison of spatial overlap between the polychaetes Nereis virens and Nephtys caeca in two intertidal estuarine environments. Mar. Biol. 124:537-550 https://doi.org/10.1007/BF00351035
- Caron A, G Desorsiers, PJW Olive, C Retiere and C Nozais. 2004. Comparions of diet and feeding activity of two polychaetes, Nephtys caeca (Fabricius) and Nereis virens (Sars), in an estuarine intertidal environment in Quebec, Canada. Exp. Mar. Biol. Ecol. 304:225-242 https://doi.org/10.1016/j.jembe.2003.12.014
- Habe T. 1977. Systematics of Mollusca in Japan. Bivalvia and Scaphopoda. Zukan-no-Hokuryukan Co., Tokyo. 372pp. 72pls. (in Japanese)
- Hong JS and JW Yoo. 1996. Salinity and sediment types as sources of variability in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macrofauna in Han estuary and Kyonggi Bay, Korea. J. Kor. Soc. Oceanogr. 31:217-231
- Kim HS. 1976. A checklist of Macrura(Crustacea, Decapoda) of Korea. Proc. Coil. Natur. Sci., SNU. 1:131-152
- Kim W and HS Kim. 1982. Classification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Korean crabs (Crustacea, Decapoda, Brachyura). Proc. Coll. Natur. Sci., SNU. 7:133-159
- Kubo I. 1942. Studies on Japanese palaemonoid shrimps. 3. Leander. J. Imp. Fish. Inst. Toyko. 35:17-85
- Martens V. 1886. Japan und Korea gesammelten Land und Susswasser-Mollusken. Situngs-Bericht der gesellschaft naturforschender Freunde zu Berlin. 2:76-80. (in German)
- Martin JW and GE Davis. 2001. An updated classification of the recent Crustacea. Natural History Museum of Los Angeles County. Sci. Ser. 39:1-132
- Paik EI. 1989.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1 Polychaeta. Ministry of Education, Seoul. 764pp. 102pls. (in Korean)
- Pettibon MH. 1982. Classification of polychaeta. In: Parker. S.P.(ed.). Synopsis and classification of living organisms. McGraw-Hill. pp.3-43
- Yoo JW and JS Hong. 1996. Community structure of the benthic macrofaunal assemblages in Kyounggi Bay and Han Estuary, Korea. J. Kor. Soc. Oceanogr. 31:7-17
- Yoon IB and JU Byun. 1981. A comparative study on the 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of water pollution in the main course of Han River. Bulletin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Series III. pp. 391-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