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 남서연안해역의 저수온 출현과 안개 형성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old Water Appearance and Fog Formation in the Southwest Coastal Waters of Korea

  • 윤종휘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찰학과) ;
  • 정희동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관) ;
  • 조규대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 김동선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 이은방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찰학과)
  • Yun Jong-Hwui (Dept. of Maritime Police Science, Korea Maritime University) ;
  • Jeon Hee-Dong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Cho Kyu-Dae (Dept. Oceanograph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Dong-Seon (RCOI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Eun-Bang (Dept. of Maritime Police Science, Korea Maritime University)
  • 발행 : 2005.08.01

초록

하계 한국 남서연안 해역에는 저온수가 나타나고 안개가 자주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온수의 출현시기 및 장소와 이 해역에서 형성되는 안개에 미치는 저온수의 영향에 대해 조사${\cdot}$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수온역은 초여름 대흑산도 부근해역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여, 이것은 점차 이동하여 7월 말${\~}$8월 초 진도 남서쪽 해역에 위치하고, 그 후 10월 중순경 이 해역에서 소멸된다. 그리고 이 해역에서는 주로 4${\~}$8월에 안개가 발생하는데, 특히 인근해역에 비해 해면온도가 현저하게 낮은 진도해역에서 안개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이 해역에 나타나는 저온수가 안개의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It is known that the cold water appears and fog frequently forms in the southwest coastal waters of Korea in summer. The authors investigate and analyze the time and place of cold water existence, and also whether the cold water affects the occurrence of fog formation. As a result, cold water begins to appear around Daeheugsando at the early summer and cold water area gradually moves toward southwest of Jindo in end July${\~}$early August, then disappears in this area around mid-Oct. Fog mostly forms in April through August and most frequently occurs at Jindo where sea surface temperature shows lower than that at the adjacent area Accordingly it is taken that the cold water considerably contributes to form the dense and frequent fog around Jindo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철중(1971), 한국서해 해황의 계절적 변동에 관하여, 수진연구보고, 8, pp. 9-29
  2. 국립수산진흥원(1964), 한국해양편람, pp. 214
  3. 기상연구소(1986), 한국 서해 중부 연안의 해무특성조사, 한국기상연구소, MR 86-1, pp. 83
  4. 정희동(2001), 한국 남서연안 해역의 하계 저수온 출현의 기작과 해황변동,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5. Cho, Y. K., Kim, M. O. and Kim, B. C. (2000), 'Sea fog around the Korean peninsula', J. Applied Meteorology, 39, pp, 2473-2479 https://doi.org/10.1175/1520-0450(2000)039<2473:SFATKP>2.0.CO;2
  6. Fedorov, K. N.(1983), 'Lecture note on coastal and estuary studies(the physical nature and structure of oceanic front)', spring-verlag, pp. 21-22
  7. Lie, J. J.(1986), 'Summertime hydrographic features in the southeastern Hwanghae', Prog. Oceanog., 17, pp. 229-242 https://doi.org/10.1016/0079-6611(86)90046-7
  8. Lie, H. J.(1989), 'Tidal fronts in the southeastern Hwanghae(Yellow Seal)', Continental Shelf Research, 9, pp. 527-546 https://doi.org/10.1016/0278-4343(89)90019-8
  9. Nishida, K.(1924), 'On the oceanographic conditions in the adjacent seas of Korea', Fisheries in Korea, 1, pp. 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