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plit Nitrogen Application Times on Turf Vegetation of Creeping Bentgrass

질소 분시횟수가 Creeping Bentgrass 잔디초지의 식생에 미치는 영향

  • Park, Sung-Jun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Cho, Nam-Ki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Kang, Young-Kil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Song, Chang-Khil (College of Applied Lif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Cho, Young-Il (College of Agric & Life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1 to July 8 in 2004 at JeJu Isl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plit nitrogen application times on creeping bentgrass vegetation. Nitrogen rate was 20 kg/10a and it was applied from once to 5 times. The result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plant height was getting longer as nitrogen was split applied from once to 5 times. So it was longest at 5 times split nitrogen application, but it was no significance from 4 to 5 times. Root length, Minolta SPAD-502 chlorophyll meter reading value, leave and root weight n[e directly proportional plant height response. Degree of land cover Iud density of creeping bentgrass increased as nitrogen was split applied from once to 5 times. But degree of land cover md density of reed decreased. The number of reed species on decreased as nitrogen was split applied from once to 5 times. Then ranking of the dominant weeds were Portulaca oleracea Polygonum hydropiper and Stellaria media (at once split time nitrogen application), Portulaca oleracea, Polygonum hydropiper and Digitaria adscendens (at 2 split times nitrogen application), Digitaria adscendens and Portulaca oleracea Polygonum hydropiper, (at 3 split times nitrogen application), Portulaca oleracea, Poa annua and Polygonum hydropiper (at 4 md 5 split times nitrogen appli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ptimum frequency of split N applications is four times for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in volcanic ash soils of Jeju island.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한지형 잔디의 적정 질소 분시 횟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 3월 26일부터 7월 8일까지 질소시비량을 20kg/10a로 고정하고, 15일 간격으로 1회에서 5회까지 분시하여 잔디의 식생변화를 조사하였다. 초장은 4~5회 분시에서 각각 21.8cm, 21.9cm로 가장 길었으나, 시비횟수가 적어짐에 따라 초장은 참아졌다. 근장과 엽록소는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질소 시비횟수가 1회에서 5회로 증가함에 따라 엽중은 1,091kg에서 1,485kg/10a로, 근중은 2,236kg에서 2,808kg/110a로 증가되었다. 질소분시 횟수가 1회에서 5회로증가함에 따라 잔디의 피도는 $96.0\%$에서 $98.4\%$로 증가되었으나, 잡초는 $4.0\%$에서 $1.6\%$로 감소되었다. 잔디의 밀도는 $97.4\%$에서 $98.9\%$로 증가되고 있는 반면, 잡초의 밀도는 $2.6\%$에서 $1.1\%$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질소분시 횟수가 전량 시비구에서 5회로 증가됨에 따라 침입잡초는 15.7종에서 11.8종으로 감소되었다. 잡초의 우점순위는 전량 시비구에서 쇠비름, 여뀌, 별꽃 순위였으며, 2회 분시에서 쇠비름, 여뀌, 바랭이 순위로, 3회 분시에서 바랭이, 쇠비름, 여뀌 순위로, 4회와 5회 분시에서 쇠비름, 새포아풀, 여뀌 순위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주지역에서 질소비료를 4회 분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한, 노태호 2003. 골프장 건설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잔디학회지 17(2 . 3):99-113
  2. 김형기. 1991. 잔디학. 선진문화사 pp. 372-373
  3. 조남기, 강영길, 부창훈. 2001a 질소분시가 청예피의 생육특성, 수량 및 조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3(2):253-258
  4. 조남기, 송창길 1995. 제주도 개량초지에 있어서 계절에 따른 침입잡초의 분포 및 생태반응. 제주대 아열대농업연구 12:51-60
  5. 조남기, 송창길, 고동환, 조영일. 2003. 제주조의 질소분시 횟수에 따른 생육반응, 수량성 및 사료 가치변화. 한국초지학회지 23(1):37-42
  6. 조남기, 송창길, 송승운, 조영일, 오은경 2001b. 제주지역에서 질소분시에 따른 귀리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조성분변화. 동물자원지 43(4):553-560
  7. 이상재. 2000. 한국의 골프장 그린의 특성 및 그린 스피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pp. 46-47
  8. 이혜원, 정대영, 심상렬. 2003. 크리핑 벤트그래스 품종의 생육특성. 한국잔디학회지 17(2 . 3):87-97
  9. 한국잔디연구소. 1994. 골프장 관리를 위한 관리표. 한국잔디학회지 8(2): 111-131
  10. 한국잔디연구소. 1992 골프장 관리의 기본과 실제. 유화무화사 pp. 12-13
  11. Edwards, N.C., HA Fribourg and M.J. Montgomery. 1971. Cutting sorghum-sudangrass cultivar Sudax SX-11. Agron. J. 63:261-271
  12. Hoyt, P.B. and M. Nybrog. 1971. Toxic metal in acid soil. II. Estimation of plant available manganese. Soil. Sci. Soc. Amer. Proc. 35:242
  13. Huang, B., X. Liu and J.D. Fry. 1998. Effects of high temperature and poor soil aeration on root growth and viability of creeping bentgrass. Crop Sci. 38:1618-1622 https://doi.org/10.2135/cropsci1998.0011183X003800060034x
  14. Marten, G.C. 1985. Reed canarygrass. In Forages. The science of grassland agriculture. 4th ed. Health, M.E., R.F. Barnes and D.S. Metcalfe. Iowa State Univ. Ames. USA. pp. 3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