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Object-Based Image Retrieval Techniques using the Interplay between Cortex and Hippocampus

해마와 피질의 상호 관계를 이용한 객체 기반 영상 검색 기법

  • Published : 2005.07.01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user friendly object-based image retrieval system using the interaction between cortex and hippocampus. Most existing ways of queries in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rely on query by example or query by sketch. But these methods of queries are not adequate to needs of people's various queries because they are not easy for people to use and restrict. We propose a method of automatic color object extraction using CSB tree map(Color and Spatial based Binary をn map). Extracted objects were transformed to bit stream representing information such as color, size and location by region labelling algorithm and they are learned by the hippocampal neural network using the interplay between cortex and hippocampus. The cells of exciting at peculiar features in brain generate the special sign when people recognize some patterns. The existing neural networks treat each attribute of features evenly. Proposed hippocampal neural network makes an adaptive fast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system using excitatory learning method that forwards important features to long-term memories and inhibitory teaming method that forwards unimportant features to short-term memories controlled by impression.

본 논문에서는 해마와 피질 사이의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객체 기반 영상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내용기반 영상 검색 시스템은 대부분 예제(example) 질의 혹은 스케치 질의 등을 이용하고 있고 이러한 방법들은 비교적 사용하기 불편하고 방법이 편중되어 있어서 일반 사용자들의 다양한 질의 요구에 적합하지 못하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CSB 트리맵 (Color and Spatial based Binary tree map)을 이용하여 객체를 추출하고 지역 라벨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객체의 색상의 상관관계, 객체의 크기와 위치 정보를 비트 스트림 형태로 변환하고 이것을 해마와 피질 사이의 상호 작용의 관계를 이용한 해마 신경망을 사용하여 학습시킨다. 사람의 뇌 속에서 어떤 패턴을 인식을 하는 경우 해당 패턴의 특이한 특징에 대해 흥분하는 세포들이 특정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것은 흥분학습에 의해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저장하는 해마의 기능으로 기존의 신경망에서는 입력되는 패턴의 특성과는 상관없이 특징 개수가 모두 동일하게 비교된다. 제안하는 해마 신경망은 호감도 조정에 의해서 입력되는 영상 패턴의 특징들을 흥분학습과 억제학습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특징은 억제시키고 중요한 특징은 장기 기억 시켜서 적응성 있는 고속 검색 시스템을 구현한다.

Keywords

References

  1. M. Swain and D. Balled, 'Color index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vol. 7, no. 1, pp. 11-32, 1991 https://doi.org/10.1007/BF00130487
  2. R. Mehrotra adn J. Gary, 'Similar-shape retrieval in shape data management,' IEEE Computer, vol. 28, pp. 57-62. Sept. 1995 https://doi.org/10.1109/2.410154
  3. A. W. M. Smeulders, M. Worring, S. Santini, A. Gupta, and R. Jain,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at the end of the early years,' IEEE Trans. Pattern Anal. Mach. Intell., vol. 22, no. 12, pp. 1349-1380, Dec. 2000 https://doi.org/10.1109/34.895972
  4. S.Antani, R.Kasturi, R.Jain, 'A survey on the use of pattern recognition mehtods for abstraction, indexing and retrieval of images and video,' Pattern Recognition, vol.35, pp.945-965, 2002 https://doi.org/10.1016/S0031-3203(01)00086-3
  5. John R. smith and Shih-Fu Chang, 'Tools and Techniques for Color Image Retrieval', IS&T/SPIE proceedings vol. 2670, Storage & Retrieval for Image and Video Database, 1995 https://doi.org/10.1117/12.234781
  6. Palm, C, 'Cell Assemblies, coherence, and cortico-hippocampal interplay,' Hippocampus, Special Issue, Vol. 3, 219-226, 1993
  7. 이케가야 유지, 이토이 시게사토, 해마, 은행나무, (2003)
  8. Dayan, P. and Abbott, L.F., Theoretical Neuroscience, MIT press, 2001
  9. Ventriglia, F. and Maio, V.D., Synaptic fusion pore structure and AMPA receptor activation according to Brownian simulation of glutamate diffusion, Biological Cybernetics, Vol. 88, No, 3, 2003 https://doi.org/10.1007/s00422-002-03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