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in the Floras Derived from Granite and Coal Bearing Shale Areas in Keumsan

금산의 화강암 및 함탄질 셰일 지역 토양내 식물체의 중금속 함량 특성

  • Song Suck-hwan (Dept. of the Environmental Engineering, Joongbu Univ.) ;
  • Kang Young-Rib (Dept. of the Cosmetic Science and Technology, Joongbu Univ.) ;
  • Kim Il-Chool (Dept. of the Cosmetic Science and Technology, Joongbu Univ.)
  • 송석환 (중부대학교 환경공학과) ;
  • 강영립 (중부대학교 화장품 과학과) ;
  • 김일출 (중부대학교 화장품 과학과)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ree different floras(M. sinsinsis, A. vulgaris, Robinia pseudo-acacia) were collected from the granite(GR) and coal bearing shale area(CB) and analysed for their heavy metal elements with the representative soils. Regardless of the flora species, the CB were high in average contents. Among the correlation relationships, the CB were more distinctive than the GR, and the A. vulgaris showed higher correlations than the M. sinsinsis. In the same soils, the A. vutgaris showed high contents than the M. sinsinsis and Robinia pseudo-acacia, and the M. sinsinsis were high relative to the Robinia pseudo-acacia. In the comparisons of the flora, root parts were high in most of the elements except for Zn. In the soils, the CB were high in most of elements while As and Mo showed different contents between the GR and CB. In the comparison between soil and flora, soils of the GR were high in the V and Sc contents and low in Zn and Cu, while those of the CR were high in the Cr, V and Sc contents, and low in the Zn contents, Comparing with the soil contents, the M, sinsinsis in the GR were similar to Co and V contents while, in the CB, the M. sinsinsis were similar to the Ni, Cr, Co, Zn, Mo contents, and the Robinia pseudo-acacia were similar to the Ni, Zn, Cu contents. Overall results suggested that the M. sinsinsis and A. vulgaris should be eligible for the bioremediation of the soils polluted by heavy metal such as the CB.

금산지역 두 다른 토양내 식물체의 중금속 함량은 식물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함 탄질 지역이 높은 원소 함량을 보이고 있었으며 원소별 상관관계에서 함 탄질 지역이 화강암 지역에 비해 두드러지게 높았다. 지역에 관계없이 대부분 원소에서 쑥이 억세 및 아카시아에 비해, 억세는 아카시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원소 함량을 보여 쑥이 대부분 원소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흡수량을 보임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 원소에서 식물체의 상부에 비해 하부가 비교적 높은 원소 함량을 보이고 있다. 이런 관계들을 종합해 볼 때 금산의 셰일 지역과 유사한 토양의 정화 시 쑥 및 억세가 좋은 중금속의 축적 종으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으며 억세에 비해 쑥이 선호될 수 있는 종임을 암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규식. 1980. 토양 중 중금속의 생물학적 제거방법시험. 농업기술 연구소보 pp.37-50
  2. 김명희, 민일식, 송석환. 1999. 울산시의 사문암 및 유문암 지역 표토와 식물체의 중금속 함량 비교. 한국 환경 생태학회지 13(2) : 176-183
  3. 김옥준. 1968. 충주, 문경간의 옥천계 층서와 구조. 광산 지질학회지 1 : 35-46
  4. 민일식, 송석환, 김명희. 1999. 경상북도 안동 사문암 지역의 모암, 토양 및 식물체의 중금속 함량. 한국 환경 생태학회지 13(3) : 288-294
  5. 손치무. 1970. 옥천층군의 지질시대에 대한 토론. 광산지질학회지 3 : 3-4
  6. 송석환, 김명희, 민일식, 장인수. 1990. 충남 서부 백동사문암 지역 식물체의 중금속 함량. 한국토양환경학회지 4(2): 113-125
  7. 이진수, 전효택, 김경웅. 1996. 충주 지역 흑색계일 분포지역에서의 잠재적 독성원소들의 분산과 부화. 자원환경지질학회지 29(3) : 495-508
  8. 전효택, 정명채. 1991. 함 우라늄 흑색셰일에서의 유독성 원소들의 분산에 대한 지구화학적 연구. 광산지질학회지 24(3) : 245-360
  9. 홍승호, 최위찬. 1978. 금산도폭. 자원개발 연구소
  10. Baker, A.J.M. and R.R. Brooks. 1989. Terrestical higher plants which hyperaccumulate metallic element-A review of their distribution, ecology and phytochemistry. Biorecovery 1 : 81-126
  11. Ebbs, S.D., M.N. Lasat, D.J. Brady, J. Cornish, R. Gorden and L.V. Kochian. 1997. Phytoextraction of Cadmium and Zinc from a contaminated soil. J. Environ. Qual. 26 : 1424-1430 https://doi.org/10.2134/jeq1997.00472425002600050032x
  12. Hoffaman, E.L. 1997. Instrumental neutron activation in geoanalysis. J. Geochem. Explor. 44 : 297-319 https://doi.org/10.1016/0375-6742(92)90053-B
  13. Nanda Kumar, P.B.A., D. Viatcheslav, M. Harry and R. Ilya. 1995. Phytoextraction : The use of plants to remove heavy metals from soils. Environ. Sci. Technol. 29 : 1232-1235 https://doi.org/10.1021/es00005a014
  14. Salmons, W., U. Forstner and P. Mader. 1995. Heavy metals : Problems and solutions. Springer-Verlag, Berl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