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Adjustment Stress and the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ve Symptom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탈북자의 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5.02.28

Abstract

Due to the increasing concerns with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e researches have been increased. When it is compared with other areas, the researches about the North Korean defectors are rare.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164, which makes it possible to do statistical inferences. As statistical method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are used.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adjustment stress and the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ve symptom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education are controlled. The context factors-the period of the stay in the third place, the period of residence and the existence of the education in Korea- are used as control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of the women is higher than that of men. Also, there are differences of the functional social support by the age group. The research result indicates the education of South Korea is an important factor to reduce the depressive symptoms. The research result also shows that the jobless is an important stressor. Among structural social support, the member of religious or social group is an important factor for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Among functional social support, the emotional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of adaptation, but the effect of instrumental social support is the opposite. Therefore, the adequacy of social support in a specific situation must be considered.

탈북자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탈북자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도 다른 연구분야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미약한 편이다. 본 연구는 탈북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는 비교적 많은 대상을 조사하여 과학적인 분석방법으로 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우울성향에의 영향을 추론하였다. 샘플의 크기는 164명이며 분석방법은 t 검증, 변량분석(ANOVA)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중요한 탈북자의 인구학적인 변인과 탈북 이후의 변인인 중간경유지의 체재기간, 한국에서의 거주기간, 한국에서의 정규교육 유무가 회귀분석에서 통제변인으로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구조적 사회적 지지 중 집단참여는 탈북여성이 탈북남성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기능적 사회적 지지는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를 보면 한국에서의 재교육은 우울성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무직상태는 탈북자들의 적응스트레스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구조적 사회적 지지 중 교회, 사회, 탈북자단체 등의 집단에의 참여는 우울성향을 감소시키고 있고 기능적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도 우울성향을 감소시키지만 도구적 지지는 우울성향을 증가시키므로 탈북자들의 상황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적절성이 요청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