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Bosaengtang Administration in Pregnant Rats and Fetuses

보생탕이 랫드의 모체와 태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Kim, Chang-Seok (School of Oriental Medicine, SangJi University) ;
  • Lee, Sun-Dong (School of Oriental Medicine, SangJi University) ;
  • Kim, Pan-Gyi (Dept. Occupational & Environmental Health, Yongin University) ;
  • Lee, Jang-Woo (Dept. Occupational & Environmental Health, Yongin University) ;
  • Park, Hae-Mo (School of Oriental Medicine, SangJi University)
  • 김창석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
  • 이선동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
  • 김판기 (용인대학교 산업환경보건학과) ;
  • 이장우 (용인대학교 산업환경보건학과) ;
  • 박해모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 Published : 2005.12.29

Abstract

The experiments were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s of Bosaengtang in pregnant rats and fetuses.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Bosaengtang at the dose of 5mg/kg/day for 20 days. Pregnant rats were sacrificed at the 20th day of gestation, and observed internal and reproductive organs. Fetuses were randomly selected and fixed in 95% ethanol. Fetuses were stained with alcian blue and alizarin red S, and observed skeletal malformation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Bosaengtang administered group showed higher maternal body weight than the control group, but both groups showed increase in weight. Bosaengtang administered group showed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higher liver and kidney weight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s were minimal.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ed group in blood chemistry values and hematological values but all the groups were within in normal rang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number of corpus luteum, implantation, live fetus and implantation rate, delivery rate, late resorption rate, sex ratio, but Bosaengtang administered group showed higher early resorption rate than control group. comparing the control and Bosaengtang group, neonatal body weight and the number of fetuses were increased in Bosaengtang group. The fetuses of dams treated with Oriental medicine didn't showed external malformation. Vertebral and sternal variations were observed in Bosaengtang group,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appar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ribs, cervical, thoracic and lumbar vertebrae were normal. The number of sacral was similar and the number of caudal was increased. Fetu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audal vertebrae. (P<0.01) From these results, we can carefully conclude that Bosaengtang showed beneficial effects on maternal body weight, early resorption rate, number of live fetu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organ weight, hematoscopy, reproduction organs. External malformation wasn't visible. Skeletal variations were showed in vertebrae and sternum bu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variations weren't much different.

한약은 오랫동안 사용하면서 경험적으로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졌다고 생각하여 독성 문제에 관한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천연물의 성분들 중 변이원성, 염색체이상에 관한 문제점이 지적되어오고 있다. 특히 최근 임신중의 환경인자나, 약물복용에 따른 기형아 출산원인에 대한 연구가 행하여지고 있는데 임신 초기에 한약을 복용한 경우 기형아 발생률이 높았다는 보고가 있어 한약재의 임신중 사용의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조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임신과 분만에 관련된 한약재는 많이 보고되어 있고 실제로 환자에게 처방되고 있지만 이를 과학적으로 입증하고자 하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은 임신유지, 성장 및 분만과 태아발생 및 그 영향과 관련된 한약재의 효능을 임신 랫드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우선 임신 랫드를 임신 1일부터 20일까지 보생탕을 경구 투여하여 모체의 체중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임신 20일에 부검하여 채혈을 하여 혈액분석을 하고 모체의 각 장기를 관찰하였다. 또 모체의 자궁을 적출하여 태자를 관찰하였다. 태자는 체중과 외형적 기형 그리고 alcian blue용액과 alizarin red S용액으로 염색하여 골격기형을 관찰하였다. 위와 같은 실험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보생탕을 투여한 모체의 체중변화에서는 대조군보다 보생탕 투여군이 높은 증가율을 보였지만 전체적으로 두 군 모두 증가현상을 보였으므로 한약에 의한 체중 감소는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모체의 장기무게에서 절대중량은 대조군과 보생탕 투여군이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상대중량은 간과 신장에서는 보생탕 투여군이 비장에서는 대조군이 높은 결과가 나타났으나 큰 차이가 나지 않았고 유의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혈액분석결과 백혈구, 적혈구 및 적혈구 관련지표 (MCV, MCH, MCHC), 헤모글로빈, 혈소판, 림프구, 중성구, 호산구, 호염기구, 단핵구등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고, 모두 정상범위 이내에 속하였다. AST, ALT, BUN, Creatinine에서도 역시 큰 차이는 없었다. 이것도 역시 모두 정상범위였다. 모체의 황체수, 착상수, 착상율, 임신율, 초기소실율, 후기소실율, 출산자 수, 출산자의 성비를 보면 대조군보다 보생탕 투여군에서 약간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특히 초기소실율에서는 대조군보다 보생탕 투여군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는 점에서 보생탕이 착상이나 임신유지에 유용한 영향이 있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태자에 대한 영향을 살펴본 결과 태자의 체중과 태자 수는 약간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으나 큰 차이는 나지 않았다. 그리고 태자 기형발생에서는 외형적인 기형은 관찰되지 않았고 골격검사에서도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흉추와 흉골에서 변이가 다수 관찰되었다. 흉추에서는 대조군이 흉골에서는 보생탕 투여군이 약간씩 높았으나 대조군과 보생탕 투여군간의 변이는 큰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천골과 미추에서는 수의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큰 차이는 없었고 미추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났다.(P<0.01) 그리고 늑골과 경추, 흉추, 요추는 그 수가 일정했다. 이상에서 보생탕 투여는 임신 모체와 태자의 체중 및 증체량의 증가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기타 다른 모체 기능에 관한 지표, 즉 황체수, 착상수, 착상율, 임신율, 초기소실율, 후기소실율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점과 차세대 동물에 대한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관찰되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보생탕 투여는 랫드의 모체와 태자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임신 중 한약의 안전성을 입증하는 연구 결과이며, 향후에도 이상의 결과와 국제 적 연구 경향을 참고하여 임신 중 한약의 안정성과 효과의 입증을 위한 지속적인 실험연구와 임상 보고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