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Literary Study on Moschus

사향에 대한 문헌적 고찰

  • Lee, Kyu-Jae (Department of Paracytology, Wonju Medic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 Yoon, Hyu-Chul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Oriental Medical College, Sangji University) ;
  • Lee, Jin-Seon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Oriental Medical College, Sangji University) ;
  • Kwon, Ki-Rok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Oriental Medical College, Sangji University)
  • 이규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 교실) ;
  • 윤휘철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 교실) ;
  • 이진선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 교실) ;
  • 권기록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 교실)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Objective : Literary investigation of existing data was conducted to verify effects of Moschus and its herbal acupuncture, and determine quality management through component analysis. Results :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literary investigation. 1. Deer musk (Moschus) is dried navel gland secretions of the adult male musk deer. 2. Moschus is known to be effective for treating various febrile diseases, to revive senses, heart and abdominal pain, complications from cerebral hemorrhage, angina, and others. 3. Single dosage of Moschus is between $0.03{\sim}0.1g$ and should not exceed 1g. Normally taken as powder or pill and may be used externally. 4. Moschus also has protective effects for the liver cells, and experiments revealed possible efficacies for hyperlipidemia, brain damage, hypertension, and etc. 5. For herbal acupuncture usage, Fel Ursi, Bezoar Bovis, and Moschus are used as a mixture (BUM), and it's known to be effective for protecting the liver and treating arthritis. 6. For component analysis of Moschus, aromatic matter 'muscone' should be used as a standard matter.

Keywords

References

  1. 이상인, 본초학, 수서원, 1985;417-418.
  2. 고순구, 동물성 동약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2004;364-373.
  3. 吳普 외, 神農本草經, 人民衛生出版社, 1982;45.
  4. 강병수, 김영관, 임상배합본초학, 영림사, 1994;337.
  5. 김창민 외, 中藥大辭典, 의성당, 1997;2589-2593.
  6. 許浚, 東醫寶鑑, 남산당, 1985;362, 692.
  7. 대한약침학회, 약침요법 시술지침서, 한성인쇄, 1999;142-145.
  8. 나창수, 홍석, 김희철. 사향.우황.웅담 약침이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1996;17(2):251–263.
  9. 정경연, 김갑성, 윤종화. 우황.웅담.사향 복합제제 약침자극이 LPS유발 관절염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1;18(1):113–128.
  10. 정경연, 김갑성. 사향 우황 웅담 복합제제약침이 白鼠의 류마티스 관절염중 혈액학적인 변화 및 Collagen의 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9;16(3):255–268.
  11. 도원석, 김경호, 김갑성, 楡白皮, 桂枝, 牛膝, 蜂毒 및 牛黃 熊膽 麝香복합제제 약침이 mouse의 LPS유발 관절염의 혈액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1;18(1):157–169.
  12. 李文端, 李秋貴, 中藥別名辭典, 中國科學技術出版社, 1994;422.
  13. 李時珍, 本草綱目, 人民衛生出版社, 1982;2868.
  14. 안병국, 國譯編註醫學入門 II, 남산당, 1991;947.
  15. 嚴西亨, 施澹寧, 得配本草,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4;231.
  16. 王昻, 增補本草備要, 고문사, 1984;212.
  17. 吳儀洛, 本草從新, 행림서원, 1982;258.
  18. 신민교, 원색임상본초학, 남산당, 1986;407.
  19. 안정화, 중약학, 인민위생출판사, 1986;707.
  20. 이상인, 안덕균, 한약임상응용, 성보사, 1982;471.
  21. 최영주, 이미경, 손여원, 이흠숙, 김영중, 민흥기, 우황과 사향의 간세포 보호효과, 응용약물학회지, 1996;4:271–274.
  22. 박중양, 김병탁. 사향 우황 삼칠근 복합방이 고지혈증 및 뇌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9;8(1):425–449.
  23. 최은욱, 조명행, 신상덕, 마응천. 사향함유 우황청심원액과 영묘향함유 우황청심원액의 혈압강하 작용 및 적출심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약리효능 비교. 생약학회지. 2000;31(3):310–319.
  24. 최은욱, 이장헌, 신상덕, 마응천. Mongolian Gerbil의 뇌허혈 유발에 따른 뇌조직 손상에 있어서 사향 함유 우황청심원액과 영모향 함유 우황청심원액의 조직학적 효능 비교. 응용약물학회지. 2000;8:255–261.
  25. 원도희, 윤태보, 조정희, 홍남두, 허재두. 1983년도 학술대회 학술강연 요지 : 일반연제 ;25.생약 및 생약제제의 규격에 관한 연구(III)-사향 품질검사에 관한 연구-. 한국생약학회지. 1983;15(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