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al knee test in sports injury

스포츠 손상에서 슬관절 기능 검사의 의의

  • 문형태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
  • 서정국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
  • 하정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
  • 김지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
  • 김민건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
  • 김진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 Published : 2005.10.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ree functional performance tests and one-legged hop test and to establish the reference data of the three functional performance tests of the active young Korean men.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five tests on 40 normal subjects such as one-legged hop test (single hop, triple hop) and the three functional performance tests (carioca test, co-contraction test, shuttle run test). The mean age was 28.4 years. The mean score of Tegner activity scale was 6.2 and Lysholm score 98.2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The correlation of age, height and weight with the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FPT and one-legged hop test an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limbs were statistically calculated. Results: All data obtained were normally distribute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ge, height and weight. The paired t-test of one legged hop test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limbs. The results of one legged hop test had strong relationship with functional performance test. Conclusion; The three functional performance tests can be a useful functional test in ACL-insufficient athletes. Our results can be used as normal reference data of the normal active Korean me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슬관절의 외발 뛰기, 기능성 수행 평가의 유용성을 살펴보고 향후 기능 평가의 기준이 될 수 있는 한국 성인 남성의 평균값을 얻는데 있다. 연구대상 및 방법: 정상 성인 남성 40명을 대상으로 외발 뛰기(한번 뛰기, 세번 뛰기)와 3종 기능성 수행 평가(shuttle run, Carioca, Co-contraction test)등 총 5개 항목의 검사를 시행하였다. 피검자의 연령은 평균 28.4세었으며 Tegner activity score는 평균 6.2점, Lysholm score는 평 균 98.2점이었다. 각 검사 결과의 평균과 표준 편차를 구하였으며, 키, 몸무게, 연령과의 상관 관계, 우세 다리 (dominant limb)와 비 우세 다리(non-dominant limb)에서의 결과 차이, 뛰기 검사(hop test)와 기능성 수행 평가와의 상관 관계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검사한 5개 항목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정규 분포를 하였으며, 키, 몸무게, 연령과는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외발 뛰기 검사는 우세 다리와 비 우세 다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기능성 수행 평가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3종 기능성 수행 평가는 전방 십자 인대 손상 환자의 기능 평가로 유용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정상 한국 성인 남성의 정상 기준 값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