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romioclavicular joint injury and its treatment in overhead athletes

투구 활동과 관계된 견봉쇄골관절의 손상과 치료

  • Choi, Chang-Hyu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 Lee, Ho-Hyu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최창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호형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5.10.31

Abstract

Acromioclavicula. joint injuries occur as a result of force applied directly to the shoulder or indirectly through the humerus. Even though the main cause of injuries are direct trauma, indirect injury due to repetitive stress on the joint also could occur to the throwing athletes. The extent of injury to the ligaments responsible for acromioclavicular joint stability along with trapezius and deltoid muscle attachments determines the direction and degree of injury. Correct classification of injury based on clear understanding of anatomy and mechanism of injury can assist in tailoring a treatment to a throwing athletes.

견봉쇄골관절의 손상은 대개 견관절에 직접 가해지거나 상완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지만, 투구활동을 하는 운동선수의 경우 과 사용으로 인한 반복적인 자극이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견봉쇄골관절의 안정성에 관계된 인대의 손상 정도에 따라 견봉쇄골관절 손상의 방향과 정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견봉쇄골관절의 해부와 손상기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정확한 분류를 통해, 투구 활동과 관계된 견봉쇄골관절 손상에 대한 적절한 치료 방침을 세울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