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ressure on Liquid Absorbance in Main Wood Species of Pinaceae Grown in Korea Using Safranine Under Vacuum

  • Ahmed Sheikh Ali (Department of Wood Science & Engineering,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Hyun-Dae (Department of Wood Science & Engineering,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un Su-Kyoung (Department of Wood Science & Engineering,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5.08.30

초록

본 실험은 한국산 주요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낙엽송의 safranine의 침투도를 실험하였다. 진공, 압력 및 safranine의 침투시간을 각각 다르게 하여 수종별 침투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진공조건의 변화에 따른 침투도 변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고, 압력조건의 차이에 의한 침투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목재의 방향별 침투도를 고찰한 길과 축방향, 방사방향, 접선 방향의 순서로 침투도가 높았다. 변재와 심재의 사이의 침투성을 고찰 한 결과 변재가 심재보다 쉽게 침투 되었다. 수종별 침투성을 고찰한 결과 소나무가 가장 우수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