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mmercial Film Narrative based on the theory of Gerard Genette -Focused on Temporal Order-

TV 광고에 있어서 Gerard Genette 이론적 서사의 시간성 -시간의 순서(Temporal Order)를 중심으로-

  • 안상혁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
  • Published : 2005.02.28

Abstract

In this paper, I am going to analyze a commercial film narrative focused on a temporal order through the theory of narrative discourse by Gerard Genette. Advertisements has a special quality or feature to be convertible into mythological hyper reality to advertise an product effectively. In this process, narrative in a commercial film has visual variations using a temporal order to show an glamorously advertisements in television. The reason that narrative in a commercial film is subject to variation with a temporal order, duration, frequency is to get some aesthetic effect for making sure people see them.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image making like a pop-art became the first consideration in a commercial film with the consequence that representation as a signifier came to be more important than object as a signified. As a commercial film have more sensational image as a result of visual variation, images in a commercial film became vague so that it does not explain or express an advertising concept dearly. However, those aspects have assets that it gives the TV audience a room for interpretation in advertisements by themselves.

이 연구는 소설이나 영화의 서사적 시간성을 밝히는데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 주고 있는 '제랄드 쥬네트(Gerard Genette)'의 이론을 통해 TV광고의 시간적 서사와 그 의미구조를 살펴보기 위한 시도이다. 광고는 그 광고가 지시하는 상품에 최고, 최대의 교환가치를 부여하기 위해 신화적인 초실재적 기호로 스스로를 변환시키고자 노력한다. 이런 과정에서 TV광고의 서사도 새로운 유혹의 메카니즘으로 보여지도록 서사적 시간의 순서를 뒤집고 뒤섞는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어떤 미학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이다. 광고는 상품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미학적 효과를 채용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TV광고는 기호내용보다는 기호표 현 중심으로 한 보여줌의 미학으로 전개됨에 따라 이미지의 과잉 현상을 낳는다. 특별한 미학적 효과를 위해 시간적으로 변형된 TV광고는 새롭고 세련된 화면을 제공하지만 모호한 이미지들로 인해 해석의 불확정성을 낳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양상은 대중들이 광고메시지를 만드는데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여지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