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국기복 디자인에 관한 미학적 고찰 -씨름복을 중심으로-

An Aesthetic Review on the Traditional Active Sports Wear Design - Focusing on Korean Wrestling Uniform-

  • 윤을요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퓨전디자인학과) ;
  • 박선경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의상디자인학과)
  • 발행 : 2005.08.31

초록

본 연구는 전통 문화상품으로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씨름의 이미지 구축에 관한 복식 연구로서, 씨름복의 체계화 및 시각화에 관한 방안제시, 그리고 씨름복 디자인 개발에 관한 기초 기반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기초적인 부분으로는 씨름복의 역사성에 대한 탐구로 세계 씨름과 우리나라의 씨름을 비교 고찰해 보았으며, 씨름복에 관한 변천사에 관하여 탐구해 보았다. 또한 실질적인 부분으로는 현행 씨름 및 씨름복에 관한 기준에 대하여 그 내용을 숙지하고, 디자인 기반 연구로서 씨름복이 갖는 미학적인 부분을 크게 네 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여 첫째 전통성과 독창성, 둘째 유온성과 적합성, 셋째 상징성과 장식성, 넷째 다양성과 통일성으로 그 내용을 체계화하였다. 결론적으로 씨름복 디자인 기획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상기에서 제시한 미학적 부분을 토대로 일관된 컨셉을 시각화하는데 있다. 이번 연구는 씨름복에 관한 미학적 부분의 이론 연구로서, 디자인 컨셉 설정 및 디자인 전개의 지침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지니며, 향후 추진될 전통 문화 복식 디자인의 기획에 관한 기반연구였다는 점에 그 의미를 둔다.

Focusing on costume research to set image of Korean wrestling that has potential power as a traditional and cultural ite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stemize Korean wrestling uniform and offer suggestions regarding visualization, and to carry out basic ground research to develop Korean wrestling uniform design. For the basic part, I compared world wrestling and Korean wrestling in an effort to learn more about the history of wrestling uniform along with its transitional changes. And for the practical part, I studied the criterion of the current wresting and its uniform, and classified the aesthetic points of Korean wresting uniform into four categories in the view point of design ground research: tradition and uniqueness, usability and compatibility, symbolism and ornamentation, variety and unific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most important part in designing Korean wrestling uniform lie in how to consistently visualize it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aesthetic points. As the theoretical research on aesthetic parts of Korean wrestling uniform, this research finds its meaning in suggesting guideline for design concept and development while planning traditional and cultural costume design which will be materialized in the follow-up researc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