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에 나타난 시각적 메시지의 의미작용 연구 -자동차 기업 홈페이지의 intro page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ignification of visual message in the website - Focus on intro page of automobile company homepage -

  • 박상혁 (건양대학교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 이용호 (두원공과대학 디지털디자인계열)
  • 발행 : 2005.08.31

초록

시각메시지는 커뮤니케이션 성립을 위한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송신자(communicator)에서 수신자(communicatee)에게 어떤 경로(channel)를 통하여 전달되는 기호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시각메시지는 이성적이고 추상적 관념을 전달하는 언어적 요소와 감정적이고 구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비언어적 요소로 나뉘는데, 특히 수용자의 관심이 낮고 집중도가 낮은 특징의 웹사이트에서는 시각적 유도의 요인을 파악하고 시각메시지에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는 이미지를 필요로 한다. 즉, 웹사이트는 시각적, 감상적 경험을 느끼게 해주는 매체로서 다양한 양식의 디지털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는 융합적 기호체계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디지털 텍스트의 여러 양상 중 홈페이지의 intro page가 텍스트로서 어떻게 수용자에게 의미작용되는지 기호학적 접근을 통해 이미지 구조의 형성과 기호유형을 파악하여 메시지의 기저의미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미지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서 Osgood을 중심으로 개발된 의미분별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을 적용하여 메시지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퍼스의 기호유형을 도입하여 시각적 메시지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의미작용은 다양한 기호들의 결합에 의해 창출되어지는 것이니 만큼 웹사이트가 전달자와 수용자간에 커뮤니케이션되는 기호들의 의미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여 의미작용체계를 알아보고, 시각메시지와 기호학의 관계를 밝혀 기호학의 유용성을 알아보는데 의의가 있다.

Visual messages are fundamental element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nd indicate the signs which are delivered from the communicator to the communicatee via channels, Generally, we can classify visual messages into two groups; linguistic factors which are rational and deliver abstract concepts and unlinguistic factors which are mental and can be expressed concretely. Especially, web site with receivers' low attention and concentration need images which can attract their attention to visual messages. That is, web site is a medium which allows us to feel visual and emotional experiences. We can call it a standard of sign systems which are consisted of various styles of digital text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that we'll analyze how homepage introductory page as one of the forms of digital text conduces a meaning action to the receivers and that we'll apprehend the structures of images and different types of signs via a semiotic approach and analyze the underlying meaning of the messages. In order to survey the structures of images we'll look into the attitude toward perceiving messages by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hich has been developed mostly by Osgood and analyze the visual images by adopting sign types of Fuss. As the signification is created by combining signs, it is significant that we'll analyze the meaning of sings between the transmitters and receivers from the semiotic viewpoint and study the signification system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