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motional Reaction to the Interior Design - Focusing on the Worship Space in the Church Buildings -

실내공간 구성요소에 의한 감성반응 연구 - 기독교 예배공간 강단부를 중심으로 -

  • 이현정 (울산대학교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
  • 이규백 (울산대학교 디자인대학)
  • Published : 2005.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reaction to the image of the worship space in the church buildings and to quantify its contribution of the stimulation elements causing such reaction, and finally to suggest basic data for realizing emotional worship space of the church architecture. For this, 143 christians were survey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23 emotional expressions extracted from the worship space and 32 images of the worship space. The combined data was described with the two dimensional dispersion using the quantification theory III. The analysis found out that 'simplicity-complexity' of the image consisted of the horizontal axis (the x-axis) and 'creativity' of the image the vertical axis(the y-axis). In addition, to extrac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emotional reaction and its stimulation elements quantitatively, the author indicated 4 emotional word groups such as simple, sublime for x-axis and typical creative for y-axis based on its similarity by the cluster analysis, The quantification theory I was also used with total value of equivalent emotional words as the standard variance and the emotional stimulation elements of the worship space as the independent variance. 9 specific examples of the emotional stimulation elements were selected including colors and shapes of the wall and the ceiling, shapes and finish of the floor materials, window shapes, and the use of the symbolic elements. Furthermore, 31 subcategories were also chosen to analyse their contribution on the emotional reaction. As a result, the color and finish of the wall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element on the subjects' emotional reaction, while the symbolic elements and the color of the wall found to be the least effective. It is estimated that the present study would be helpful to increase the emotional satisfaction of the users and to approach a spatial design through satisfying the types and purposes of the space.

본 연구는 기독교 예배공간 강단부 이미지를 대상으로 피험자를 통해 나타나는 감성반응을 연구하고, 감성 자극 요소가 감성반응에 미치는 기여도를 정량화하여 향후 예배공간 강단부 계획에 있어 감성의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예배공간을 대상으로 추출한 감성 표현어휘 23개와 선정한 예배공간 강단부 이미지 32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기독교인 1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 하였다. 통합된 데이터를 수량화이론 III류 분석법을 이용해 2차원분산 분포도로 나타내었으며, 분석 결과, 이미지의 '단순복잡성'을 나타내는 가로(x)축과 이미지의 '독창성'을 나타내는 세로(y)축으로 성립됨을 밝혀내었다. 더불어 분석 결과에 따른 감성 반응치(反應値)와 감성 자극요소와의 인과관계를 수량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클러스터 분석에 의한 유사도를 기준으로 가로축의 대표 감성어 소박한, 장엄한 과 세로축의 전형적인 독창적인 을 4개의 감성 어휘 그룹으로 선정하였으며, 해당하는 감성어휘 평가치의 총계를 기준변수로 하고, 예배공간 강단부의 감성 자극 요소를 독립변수로 하는 수량화 이론 I류 분석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강단부의 감성 자극 요소의 구체적 부분은 벽의 색상, 형태, 마감과 바닥의 형태와 마감, 천장의 형태, 색채, 창의 형태, 상징적 요소의 유(有) 무(無) 9가지로 선정하였으며, 그에 따른 하부 카테고리 31개를 선정하여 감성 자극 요소가 감성반응에 미치는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벽면의 색상과 마감이 피험자의 감성반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징적 요소의 유(有) 무(無)와 천장의 색상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요소임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는 예배공간의 종교적 숭고미와 관련되는 감성적 요구를 표현하는데 있어 디자이너의 주관적인 해석을 객관화, 정량화시켜 사용자의 감성적 만족을 높이고 공간의 유형과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 디자인 접근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