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산업 제품의 색채 연구 - 1960-70년대 산업화 시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lorization of Industrial Products of Korean Make - Focused on the reflection of the Panorama exhibited during the perior of the sixties and seventies of the Previous Century -

  • 이옥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
  • 발행 : 2005.11.30

초록

최근 장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제품의 외관을 다루는 작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색채 디자인 활동의 전문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러 찬 상황에서 색채 디자인에 대한 개념의 재정립과 방향성의 제고는 불가피하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우리나라 색채 디자인의 출발점인 1960-70년대의 색채를 살펴봄으로써 색채 디자인의 적극적 도입 과정과 그 매커니즘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60-70년대의 산업 재효의 색채에 관한 문헌을 조사 분석하여 색채의 특징을 구분하고 각각의 색채에 대한 배경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제품 색채는 산업화 속에서 제품의 기능적, 시각적인 마무리를 위한 개념에서 설정된 생산과 판매중심의 접근임을 알 수 있었다. 색채는 경제 성장을 향하는 물질가치 중심의 산업화의 이념과 제품에 대한 인식틀 속에서 그 방향성이 결정되었고 따라서 단순한 모방이나 기능적 보완, 또는 시각적인 주목성과 차별화기 기능 역할을 부여 받았다. 이러한 인식은 가전 제품을 중심으로 하는 백색, 소규모 일상용품을 중심으로 하는 순색, 가구와 같은 장식 개념의 제품을 중심으로 하는 자연 소재색의 3영역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는 제품 색채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던 점, 특히 제품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외형적 특성에만 집중하는 기존의 연구 태도로 인해 중요성의 인식이 부족하였던 색채에 대한 고찰이라는 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With the recent increase of sensitivity to decors, there has been an ever-increasing significance of exhibiting the beauty of the outer looks of an article. This trend has necessarily led to the diversification and also specialization of the color scheme activities. And so, it is inevitable that we should form the substantial ideas of the color scheme and further on, enhance the efficacy of its orientation under the prevailing circumstances. Now, we come to a realization that we must first take a glance at the whole picture of the arrays of color embedded in a variety of articles in the sixties and seventies of the 20th century, a bold introduction of color designs, thereby tracing the birth of color designs and finding a meaning in its mechanism. This study begins with the obtaining of a large collection of articles in those days, along with the literature on the commercial effects color suggest, and looking into the background of their trend and finding a meaning that underlies what these colors suggest. The general idea of those color designs exemplifies that the color selection was none other than the simplicity and convenience in the making of things in doser relation to the easy selling. With the advance of material quality and enhancement of the industrial idealism, it has been proved that color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picting the image of quality and tastes of class. In that role color has been given the indicator of visual delights and differentials in quality articles. All this has been reflected in a diversity of articles: for instance, white for household appliances, prime color for living necessaries and natural color for the decore like furniture. Formerly, after all, people used to have little regard for color. What is color for, it was thought, in relation to the selling image of articles? That is wily our preceding generation pays attention only to the first-hand looks of articles, neglecting the intensive study on color. We are beginning to understand what image a certain color scheme evokes in our feel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