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of Prototyping Tools for Interactive Product Design

인터랙티브 제품 디자인을 위한 프로토타이핑 도구 조사

  • 남택진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
  • 임지동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5.11.30

Abstrac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transforms the design targets,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s and the role of designers. The paper highlights the role of prototyping in the interactive digital product design process and presents the survey and analysis of prototyping tools that can be used by designers in designing such products. From the review of tools in design related fields. the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the tools were presented. The framework has the criteria of the fidelity of prototypes, the stage when the prototyping is used, and design targets. Based on the analysis, the implications for using the tools are suggested. They includes that prototyping is important in the concept stage for designers and different tools and methods are to be applied according to design targets and objectives. Prototyping tools need to support exploring design concepts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implementation technologies The collaboration with other professionals can also help effective prototyping. Existing tools familiar to designers can be effective platforms for the new design problems. The results can be guidlines with which designers choose more appropriate prototyping tools when they face new design problems. It also make practical contribution in improving design efficiency and design education for interactive product design projects.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디자인 대상, 대상의 속성, 디자이너의 역할이 변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변화된 디자인 환경의 새로운 디자인 도구로써 프로토타이핑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인터랙티브 디지털 제품을 디자인하는 과정에 디자이너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토타이핑 도구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관련 분야의 프로토타이핑 방법을 분석하여 프로토타입의 완성도, 디자인 프로세스, 디자인 대상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체계화하였다. 프로토타이핑 도구의 연구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프로토타이핑 도구의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 컨셉 디자인 단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새로운 프로토타이핑 방법과 도구를 숙지해야 하며, 디자인 대상과 목표에 부합하는 다양한 프로토타이핑 방법들을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구현기술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컨셉의 탐색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토타이핑 도구에 과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타 분야 전문가들과의 긴밀한 협업으로 프로토타이핑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으며 디자이너들이 주로 활용하는 기존 도구를 기반으로 하는 구현 환경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조사분석 결과는 디자이너들이 새로운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적절한 프로토타이핑 도구를 선택해서 활용학 수 있는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프로세스의 효율성 개선과 교육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