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인테리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디자인 경향 연구

A Study on the Instrument Panel Design Trend for Automobile Interior

  • 조경실 (코세라 디자인) ;
  • 이명기 (세종대학교 예체능대학 산업디자인학과)
  • 발행 : 2005.11.30

초록

1990년대 초까지 자동차 제조사는 인테리어 디자인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주로 설계, 구동방식, 크기 등 기술적 구조를 체계화하기 위한 시도를 중점으로 발전을 거듭하였고 단순히 의장디자인과 비교하면서 인테리어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에 이러한 상황은 바뀌기 시작하는데 이유는 소비자가 차안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고객에게 편안함을 주고 기능적으로도 만족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려는 의지를 보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인간이 자동차 안에서 어떻게 하루를 보내며 사용하는지 관찰하고, 그 결과 인테리어를 새롭게 하는 트렌드가 무엇인지를 고려하는 즉, 전략적으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갖도록 인테리어의 개성을 강화하고 소비자의 감성적인 부분을 고려하는 사용자 중심의 가치관 전환을 가져온 중요 요인이 되었다. 오늘날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 은 다양한 요소 변화를 반영하는 컨셉트카를 매 해 선보이고 있는데, 향후에는 감지기능과 네비게이션 적용의 무인주행을 실현시킬 수 있는 첨단 기술을 반영한 디자인 적용이 미래 디자인의 핵심적 트렌드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제품디자인, 패션, 가구 등 타 분야에서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인테리어 디자인인의 다각적 컨셉트 적용을 시도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객관적인 관점으로 시대적 배경에 따라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 변화와 조형적 특징을 조사, 분석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배경과 자동차 인테리어의 흐름을 크래쉬패드 중심으로 비교하여 다변화(多變化)하는 기술적 중요 요인과 함께 향후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 방향을 연구하고자한다.

Until the early part of the 1990s, interior design has never been thought important by car makers. Repeated attempts have been made to systemize a technical structure, such as layout, driving method, and size, and the car's interior design has been developed by in simple comparison with the exterior design. In the 1990s, however, this trend began to change because consumers began spending more time in their cars, so the motive of the technology development became that of giving comfort and functional satisfaction to the customers. Observing how a person spends inside his or her car and considering the latest trends in car interiors have made a consumer-oriented sense of value i.e., intensifying the personality of the car's interior design and considering the emotional makeup of the consumer factor in the acquisition of a strategic brand identity. These days, car interiors assume a new concept every year due to the constant change in various factors, and the application of a high-tech design, with a sensing function and a navigation system, to achieve driverless running, is being raised as a key trend element technology for the future. Now, at the present when multilateral concept applications of design are attempted under the direct influences from other fields such as product design, fashion and furniture, I would like to lay stress on investigating and analysing the changes in car interior design varying with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from the object point of view. On this study, I would like to compare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nd flow of car interior design with priority given to crash pad and would like to attempt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future car interior design together with diversifying major technical facto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