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Accident Injury Severity Using Ordered Probit Model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한 사고심각도 분석

  • Published : 2005.09.06

Abstract

In recent years, the rapid growth of vehicles have increased traffic crashes. Since they can cause the economic losses and have put the life qualify in danger, there should be numerous efforts to reduce traffic crashes. To reduce traffic crashes, this research seeks to improve the safety of intersections by analysing causations of injury severity with Ordered Probability Model. This research applied the Ordered Probit Model, which assumes that ${\epsilon}_i$(random error) is normally distributed, for model calibration and used $p^2$ (likelihood ratio) and $x^2$ (Chi-square) for model selection. The results show that minor road traffic, heavy vehicle rates, major and minor right-turn rates, presence of lightings, speed limits, instructive line for left-turn traffic a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crash severitie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최근 폭등하는 자동차의 이용과 교통사고의 증가는 물적 손실이란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국민의 기본 생활권을 위협한다는 측면에서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일반 도로구간에 비해 사고의 잠재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교차로의 경우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차로 교통사고에 있어서 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교차로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사고 심각도 분석에 있어서 사고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순서형 확률모형 중 적절한 모형을 적용하였다. 데이터의 ${\epsilon}_i$(오차항)의 분포를 정규분포로 가정하여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적용하였고 모형의 설명력과 적합성을 나타내는 $p^2$(우도비)와 $x^2$(Chi-square)의 값을 이용하여 최적의 사고 심각도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심각도 모형을 분석한 결과, 교차로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부도로 교통량, 주도로 중차량 비율, 주도로 우회전 비율, 주도로 조명시설, 주도로 제약시설, 부도로 좌회전 유도선 등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우. 백병성(1998), '순서형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속도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9권 제16호, 대한교통학회, pp.93-100
  2. 김원철. 이병주. 이수범. 남궁문(1999), '교차로 특성에 따른 교통사고 요인분석', 제20권 제7호, 대한토목학회
  3. 김원철. 이수범. 남궁문. Hirofumi, Imada(2001) '교차로 안전진단을 위한 교통사고건수예측모델화 수법에 관한 연구', 제21권 제4호, 대한토목학회
  4. 임윤택(1993), '도로특성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오주택. 성낙문. 하오근(2005), '국도변 신호교차로 안전성 향상을 위한 사고예측모형개발', 제25권 제1호, 대한토목학회, pp.9-15
  6. 최열. 김종성(2003),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한 주택규모 선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38권 제7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69-80
  7. 주미영(2002), '프로빗과 순차적 프로빗 분석에 대한 이해와 적용', 정부학 연구, 제6권 제1호 pp.24-48
  8. 정연주(2001), '유도선 유무에 따른 교차로 안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홍정열. 도철웅(2002), '신호교차로에서의 사고 예측모델개발 및 위험수준결정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Asad J. Khattak(2000) , 'Injury Severity in Multi-Vehicle Rear-end Crash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2101
  11. Bonneson, J. A., McCoy, P. T.(1993), 'Estimation of safety at two-way stop-controlled intersections on rural highwa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401, pp.83-89
  12. Dissanayake and Ratnayake(2005), 'An Investigation on Severity of Rural Highway Crashes in KANSAS', Proceedings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4th Annual Meeting
  13. Dobon, A., Brown, W., Ball, J., Powers, J., and McFaden, M.(1999), 'Women drivers' behavi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ccident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14. Kara, M. K. (2001), 'Driver Injury Severty : An Application of Ordered Probit Model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28, pp.313-321
  15. Lourens, P. F., Vissers, J. A. M. M., and Jessurun, M.(1999), 'Annual mileage, driving violations and accident involvement in relation to driver' sex, age and level of education',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16. Neter J., Kutner, M., Nachtsheim, C., and Wasserman W.(1996), 'Applied Linear Statitical Models, chapter 13-14', McGraw-Hill
  17. O'Donnell, C.J. and Connor, D. H.(1996), 'Predicting the Severity of Motor Vehicle Accident Injuries Using Models of Ordered Multiple Choice',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 28, pp.739-753 https://doi.org/10.1016/S0001-4575(96)00050-4
  18. Oh, J., Washington, S.P., and Choi, K.(2004), Development of accident prediction models for rural highway intersections, Proceedings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Annual Meeting, CD-ROM https://doi.org/10.3141/1897-03
  19. Shankar, V., Milton, J., and Mannering, F.(1997), 'Modeling accident frequencies as zero-altered probability process; An empirical inquiry',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29(6), pp.829-837 https://doi.org/10.1016/S0001-4575(97)00052-3
  20. Washington S., Karlaftis, M., and Mannering F. (2003),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ethods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Part III Chapman & Hall/CRC
  21. Zajac, S.S., Ivann J. N. (2003), 'Factors influencing injury severity of motor vehicle-crossing pedestrian crashes in rural Connecticut'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 35, pp.369-379 https://doi.org/10.1016/S0001-4575(02)00013-1
  22. Zhang, J., Lindsay, J., Clarke, K., Robbins, G., and Mao, Y.(2000), 'Factors affecting the severity of motor vehicle traffic crashes involving elderly drivers in Onario',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 32, pp.117 -115 https://doi.org/10.1016/S0001-4575(99)000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