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rain Velocity and Location Tracking Algorithm for a Constant Warning Time System

철도건널목 정시간 제어를 위한 열차속도 및 위치추적방식 개발

  • Published : 2005.09.06

Abstract

About 91.1% of Railway-Highway Crossings (RHC) in Korea use a Constant Distance Warning System(CDWS), while about 8.9% use a Constant Warning Time System(CWTS). The CDWS does not recognize speed differences of approaching trains and provides only waiting times to vehicles and pedestrians based on the highest speed of approaching trains. Under the CDWS, therefore, low speed trains provide unnecessary waiting times at crossings which often generates complains to vehicle drivers and pedestrians and may cause wrong decisions to pass the crossing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RHC by developing accurate a CWTS. In this research a train speed and location detection system was developed with ultra sonic detectors. Locations of the detectors was decided based on the highest speed and the minimum warning time of Saemaul of 160 km/h. To validate the algorithms of the newly developed systems the lab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in detection system provides accurate locations of trains and the maximum error between real speeds of trains and those of the system was 0.07m/s.

우리나라는 건널목 중 약 91.1%가 정거리 방식을사용하고 있으며, 약 8.9%가 정시간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정거리 방식의 경우 열차의 종류에 따른 접근속도의 편차를 고려하지 않고 단지 최고속도의 열차를 기준으로 한 건널목 대기시간을 차량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제공한다. 이는 저속 열차의 통과 시 건널목 대기시간이 길어져 차량 운전자와 보행자의 불만을 야기하며 건널목 대기시간이 필요 이상으로 긴 경우 차량운전자와 보행자는 경고를 불신하게 되고 잘못된 판단을 유도하게 되어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건널목의 정확한 정시간 방식의 운영으로 철도건널목 사고예방 및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정확한 정시간 방식의 운영을 위하여 초음파 검지기를 이용한 열차 위치추적 및 속도검지 방식을 개발하였다. 초음파 검지기의 설치위치는 본 연구의 범위인 열차최고속도 160km/h와 새마을호의 최고속도 및 가속도 건널목 최소경보시간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열차 위치추적 및 속도검지 방식의 알고리즘에 대한검증은 사고위험성의 문제로 실내에서 간이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열차 위치추적 방식의 경우 실제 열차의 위치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에 의한 열차 위치는 일치하였으며, 속도검지 방식은 실제 열차의 속도와 개발된 알고리즘에 의한 속도와의 오차가 최대 0.07m/sec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철도청(2004), 신호업무자료 제20호
  2. 교통개발연구원(2004), 철도건널목 안전관리시스템 개발(I)
  3. 교통개발연구원(2001), 철도건널목 진입경고 및 제어기술 개발
  4. 오주택. 신성훈. 성낙문. 박동주. 최은수(2005), 철도건널목 사고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33-44
  5. Stephen H. R. (1990). Evaluation of Constant Warning Times Using Train Predictors at a Grade Crossing with Flashing Light Signal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254. pp 60-71
  6. Venglar S.(2001), Advanced Intersection Controller Response to Railroad Preemption Presented at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Annual Meeting
  7. 김영태(2003), 신호제어시스템, 테크미디어
  8. 박재영. 홍원식. 전병록(2001), 철도신호공학, 동일출판사
  9. www.its.dot.gov
  10. 조봉관(2002), '초음파로 건널목 장애물을 검지한다', 정보.신호통신기술특집
  11. Cho H. (2003). Preemption Strategy For Traffic Signals At Intersections Near Highway-Railroad Grade Crossings. Ph.D. Dissertation.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Tex
  12. 유재호(1997), 철도건널목 사고방지를 위한 건널목 제어장치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13. 철도기술연구원(2003), 철도건널목 위험요인 분석 및 개량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