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Nutrition Status and Quality of Life after Curative Resection in Patients with Upper Gastric Cancer: Comparison of Total Gastrectomy and Proximal Gastrectomy

상부 위암에 대한 근위부 위절제술 뜻 위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의 영양상태와 삶의 질 비교

  • Lee, Hyun-Soo (Department of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Jong-Hyun (Department of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Hun (Department of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ae-Hee (Department of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Min, Lac-Kee (Department of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ang-Il (Department of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Noh, Seung-Moo (Department of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현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박종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최훈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재희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민락기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이상일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노승무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Purpose: A total gastrectomy is generally peformed for the treatment of upper third gastric cancer. However, the optimal extent of resection for early-stage upper third gastric cancer is still controversial. In this research, we compared the nutritional status and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ho underwent a total gastrectomy with uncut Roux en Y esophagojejunostomy with those in patients who underwent a proximal gastrectomy with esophagogastrostomy for treatment of upper third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50 patients with no evidence of recurrent disease following curative surgery for upper third gastric cancer. Among this group, 25 patients underwent a total gastrectomy (TG) and 25 patients a proximal gastrectomy (PG). 8 TG and 4 PG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because of death, refusal to interview etc. The nutritional status was assessed by measuring body weight, serum albumin, serum hemoglobin, and serum total protein. The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were assessed by Cuschieri grading and modified Visick qrading. Results: In analysis of covariance of age and preoperative serum albumin, PG patients demonstrated lower weight loss (P=0.038), elevated serum albumin (P=0.049), and better outcome based on modified Visick grading (P=0.016) than TG,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rum hemoglobin change (P=0.165), serum total protein change (P=0.435), and Cuschieri grading (P=0.064) between the preoperative and the postoperative data. Conclusion: In this study, a proximal gastrectomy led to a better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than a total gastrectomy, as judged from the low weight loss, elevated serum albumin and better modified Visick grade.

목적: 상부위암의 치료로 위전절제술이 보편적으로 시행된다. 그러나 초기 의 상부위암에 대한 적절한 절제범위는 지금까지도 논쟁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상부위암의 치료에서 위전절제술 및 비절제 루앙와이식 식도공장문합술을 시행한 환자와 근위부 위절제술 및 식도위문합술을 시행한 환자의 영양상태와 삶의 질을 각각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부위암으로 근치적 수술을 시행받고 재발이 없는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위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가 25명, 근위부 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가 25명이었다 그 중 위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8명과 근위부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4명은 사망, 조사 거절 등의 이유로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영양상태는 체중, 알부민, 혈색소, 총 단백량을 통해 조사되었다. 위 장관기능과 삶의 질은 Cuschieri grade, modified Visick grade로 조사되었다. 결과: 연령과 수술 전 알부민의 차이를 보정하고 비교하였을 때 근위부 위절제술은 위전절제술에 비해 낮은 체중장소(P=0.038), 알부민 증가(P=0.49)와 modified Visick grade에서의 좋은 결과(P=0.016)을 보였다. 그러나 수술 전과 후의 혈색소변화(P=0.165), 총단백량변화(P=0.435)와 Cuschieri grade (P=0.064)에서 양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근위부 위절제술은 낮은 체중감소와 증가된 알부민 양을 보여 영양상태가 비교적 좋았고 더 좋은 modified Visick grade을 보여 위전절제술에 비해 더 나은 삶의 질을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