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간재발의 임상병리학적 위험인자

Clinicopathologic Risk Factors of Hepatic Recurrence after Curative Resection for Gastric Cancer

  • 황정환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찬영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종훈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황용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양두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Hwang, Jeong-Hwan (Department of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im, Chan-Young (Department of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im, Jong-Hun (Department of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Hwang, Yong (Department of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Yang, Doo-Hyun (Department of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발행 : 2005.12.30

초록

목적: 위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에 재발은 여러 형태로 발생한다. 특히 현행성 재발은 간 부위에서 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간계발의 임상병리학적 위험인자를 예측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에서 위암으로 근치적 수술치료를 받았던 838명의 환자 중 201명의 재발환자를 대상으로 간 재발과 관련된 임상병리학적 위험인자를 찾기 위해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결과: 201명의 재발환자 중 59명이 간재발을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다변량분석에서 간재발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는 Lauren의 분류에서 장형인 경우(OR, 6.66; 95% Cl, 1.53 to 28.9; P=0.011),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가 6cm 미만인 경우(OR, 3.76; 95% Cl, 1.03 to 13.67; P=0.045)가 관련되어 있었다. 결론: 위암의 수술 치료 후 간재발의 임상병리학적 위험인자들의 다양한 연구 조사와 더불어 분자생물학적인 연구가 더해진다면 간 재발에 대한 예측이 가능할 것이며 고위험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법의 개발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Recurrence occurs in various forms and in different organs after a curative resection of gastric cancer. The most common location for hematogenous recurrence is the liv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a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epatic recurrence after surgical treatment of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838 patients who had taken radical surgery for primary gastric cancers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2 and December 1999. According to the medical recor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linicopathologic variables and hepatic recurence. Results: Recurrence of gastric cancer was documented in 201 out of the 838 patients (23.98%). Hepatic recurrences were found in 59 out of 201 patients (29.35%).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the following as independent risk factors of hepatic recurrence: Lauren's Intestinal type (OR, 6.60; 95% Cl, 1.53 to 28.9; p=0.011) and proximal resection of margin below 6 cm (OR, 3.76; 95% Cl, 1.03 to 13.67; P=0.045). Conclusion: Various studies on clinocopathologic risk factors of liver recurrence with molecular biologic research should make possible the prediction of recurrence and help high-risk patients to find appropriate manage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