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환자의 혈장 및 종양 조직에서 측정된 그렐린 농도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Ghrelin Concentrations in Plasma and Tumor Tissue from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안지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 ;
  • 최민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 ;
  • 홍성권 (건국대학교병원 외과) ;
  • 백용해 (동국대학교병원 외과) ;
  • 노재형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 ;
  • 손태성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 ;
  • 김성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외과)
  • An, Ji-Yeong (Department of Surgery,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 Choi, Min-Gew (Department of Surgery,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 Hong, Seong-Kweon (Department of Surgery, Konkuk University Hospital) ;
  • Baik, Yong-Hae (Department of Surgery, Dong Guk University International Hospital) ;
  • Noh, Jae-Hyung (Department of Surgery,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 Sohn, Tae-Sung (Department of Surgery,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 Kim, Sung (Department of Surgery,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 발행 : 2005.12.30

초록

목적: 그렐린은 위에서 주로 생산되며 체내 영양상태를 반영하고 에너지 항상성 유지에 관여한다. 위암으로 위 절제수술을 받은 환자의 혈장 및 조직의 그렐린 수치와 임상소견과의 관련성, 혈중 그렐린 수치와 위 암 조직 의 그렐린 수치의 상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7월부터 9월까지 위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위전절제술과 위아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3개월 이내에 체중이 5% 이상 감소한 군과 5% 미만으로 감소한 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특징, 생화학 검사소견, 체질량지수, 종양의 병기, 조직 유형, 혈액과 조직의 그렐린 펩타이드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수술 방법에 따라 수술 전후의 체질량지수, 생화학적 검사 소견, 혈중 그렐린 농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체중 감소 정도에 따른 환자들의 임상 양상, 혈중 그렐린 농도, 종양 조직 및 정상조직의 그렐린 수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이들 사이에 상호 연관성 역시 찾을 수 없었다 그러나 두 군 모두에서 종양 조직의 그렐린 수치는 정상 조직의 그렐린 수치에 비해 유의하게(P<0.0001)감소되어 있었고 종양의 분화도에 따라 종양 조직의 그렐린 수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7). 위아전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의 수술 후 7일 째 혈장 그렐린 농도는 수술 전 농도의 $36.5{\pm}25.6%$로, 위전절제술을 시행한 경우는 수술 전 농도의 $47.3{\pm}34.3%$로 감소하였다. 절제 범위에 따른 수술 전 후의 혈중 그렐린 농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위암의 발생 및 종양의 분화도는 그렐린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며 위 조직의 그렐린 수치는 체내 그렐린 생성량을 반영하지 못한다. 위는 그렐린 생성의 주요 장소이며 위 절제 범위에 따라 혈중 그렐린 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위전절술 후 다른 장기에서 그렐린이 대상성으로 더욱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렐린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인자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Ghrelin, produced primaril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cluding the stomach, has been reported to reflect nutritional status and to control homeostasis by influencing food intake and adipo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nutritional status, as well as plasma and gastric tissue ghrelin level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a gast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Eighty patients were analyzed by the degree of weight loss $(weight\;loss{\geq}5%\;or\;<5%)$ and the extent of gastrectomy (subtotal or total gastrectomy).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ll patients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especially at seven days. Gastric tissues, including tumor and normal tissues, were obtained from the resected stomach. levels of plasma and tissue ghrelin were measured with a commercial ELISA ki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ghrelin levels of plasma, gastric tumor tissue and normal tissue by the degree of weight loss. The ghrelin levels in plasma and tumor tissue showed no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while the ghrelin level in tumor tissu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normal tissue. The degree of cellular differentiation also had an association with ghrelin production. A gastrectomy proved to decrease significantly plasma ghrelin levels, body mass index, and biochemical markers, regardless of the extent of gastric resec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gastric cancer affects the production of ghrelin in the gastric mucosa and that ghrelin is mainly produced in stomach even though it could be partially covered by endogenous ghrelin from other organs following a gastrectomy. However, we should further investigate which other factors have an impact on energy consumption, ghrelin secretion, and changes in ghrelin levels after a gastrectom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