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행버스 노선의 정류장 위치 및 배차간격 결정에 관한 연구 (노선별 정류장간 O-D 자료를 활용하여)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Bus-stop Location and Headway of Bus Rapid Transit Using Bus-stop-based O-D Data

  • 조혜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첨단도로시스템 연구센터) ;
  • 이영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발행 : 2005.12.31

초록

급행버스시스템을 도입함에 있어서 정류장의 위치나 배차간격이 적절하지 않으면 버스 운영자 및 이용자의 불필요한 비용을 유발하여 결과적으로 사회 전체적인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승객의 기 종점에 기반하여 정류장 위치 및 배차계획을 수립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서울시 대중교통체계 개편 이후 새로운 버스카드 시스템의 도입되었다. 이로 인해 버스운행이력 및 이용자 이동경로의 자료 구축이 가능해짐에 따라 대중교통 통행수요의 정류장 기반 O-D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승객의 기 종점을 고려한 급행버스의 최적 정차위치 및 완 급행버스 배차간격 결정방법론을 수립하고자하였다. 전체 과정을 초기조건 입력, 정류장 위치 대안 생성, 완 급행 O-D배분 및 배차간격설정, 총교통비용 산출 및 최적해 도출의 4단계로 구성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프로그램언어로 구현한 후, 승객의 통행패턴이 현저히 다른 두개의 노선을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급행버스의 노선 계획에 있어서 승객의 이동거리분포를 검토하여 볼 필요성이 있음을 정책적인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When we introduce the BRT systems, it is very important to decide the operating factors, such as bus-stop locations or headway. If the factors are inappropriate, unessential expenses for the operator and users of the bus line may be caused, and it leads increase of social total cost. So, it is necessary that we consider users' origin and destination of each bus line when we set location of bus-stops and the optimal headway. Meanwhile, Smart Card System was introduced of fare collection for the Public Transportation Reform in Seoul last year. This new card system makes it possible to store up the information about bus operating and passenger's trip link. With these substantial information. we can estimate bus-stop-based O-D table. So, in this thesis, it was studied a systematic methodology to find the optimal location and headway for skip-stop bus system (as a type of first step for BRT). The proposed methodology in this thesis is expected to be useful to effect analysis or setting operating factors for skip-stop bus system in each bus line.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4), 제2차 수도권 광역교통5개년계획 및 추진계획(2004-2008)
  2. 교통개발연구원(2004), 수도권 광역급행버스시스템 및 환승체계 개선방안
  3. 교통개발연구원(1997), 수도권 여객통행행태의 조사 : 개별행태모형의 정립을 중심으로
  4.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9), 대중교통 요금체계 다양화 방안 연구
  5.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9), 서울시 종합교통분석 체계 정립 및 광역통행분석
  6. 서울특별시.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3.5), 대중교통 요금체계 개선방안
  7. 원제무(1998), 도시교통론, 박영사
  8. 고승영 . 고종섭(1998), '버스의 최적운행시격 및 보유대수 모형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169-176
  9. 양창화 . 손의영(2000), '서울시 지하철 이용객의 환승 관련 변수의 가치 추정 (선호의식(SP) 및 현시선호(RP) 분석을 이용)', 대한교통학회지, 제18권 제4호, 대한교통학, pp.19-30
  10. 원제무 . 박창호 . 이성모(1994), '수익성을 감안한 경전철의 최적노선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2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29-47
  11. 이승헌(1998), '버스 운행특성을 고려한 운영효율 최적화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공학석사학위논문
  12. 황기연 . 김익기 . 이우철(1998), '교통수요관리정책의 효과분석을 위한 다항로짓모형의 적용 -서울시 사례-',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53-63
  13. Chang and Schonfeld(1991), 'Integration of fixed and flexible route bus system',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308
  14. Jansson J. O(1980), 'A simple bus line modell for optimisation of service frequency and bus size', Journal of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y, Vol. 14
  15. Lee K. K. et al(1995), 'Optimal mixed bus fleet for urban opera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03
  16. Mohring H.(1972), 'Optimization and scale economies in urban bus transportation', The American Economic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