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를 활용한 지진위험도 분석

Error Assessment of Attitude Determination Using Wireless Internet-Based DGPS

  • 고준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지적정보학과) ;
  • 권재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지적정보학과) ;
  • 최윤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지적정보학과)
  • 발행 : 2005.09.01

초록

우리나라는 비교적 지진의 안전지대라는 의식이 팽배하다. 따라서 지진이 발생할시의 대처 방안또한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해외의 사례를 살펴보면 지진에 대한 충분한 대비가 없다가 갑작스러운 재난으로 큰 피해를 입는 경우가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지진 발생 사례를 조사해 본 결과 지진의 발발 횟수도 작지 않았다. 만약 이러한 지진이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 일어난다면 그 피해는 매우 심각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우리나라는 지진에 대한 대책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다른 나라에 비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에 대비해 GIS를 활용하여 다양한 요인으로 지진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지진 발생 시 위험 요인으로는 건물 도괴 위험도, 화재 위험도, 대피 위힘도 이렇게 세 가지 위험도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건물 도괴, 화재, 대피의 어려움 등과 같은 대표적인 재해를 규정하였다. 다음으로 재해 위험 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토지이용 실태, 인구밀도, 건물유형, 도로구조 등을 정량화 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위험도를 결정하였다. 또한 분석된 위험도를 기반으로 하여, 재해 발생의 최소화와 대비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했으며, 활용의 예로 대피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동대문구의 3개 동을 대상 지역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향후 이러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지역을 확대하며 지진에 대한 위험도를 사전에 도출한다면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피해를 줄일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It is the general consensus that korea is safe from some disasters, particularly earthquake. However, it is not difficult to see the countries considered as safety zones have occasionally experienced a severe earthquakes. In this case, damages and casualties are much serious because they were not prepared for the earthquak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unterplan about an earthquake. In this paper, we analyzed several damages by earthquakes using GIS based methods, and derived a counterproposal. The disasters caused by earthquak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riskiness factors, that is, a building destruction riskiness, a blaze riskiness and a refuge riskiness. Then, it is quantitatively analyzed by the degree of damage so that overall riskiness of the earthquake are assigned.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analysis can be utilized to establish the escape route from the earthquak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shows an good example of GIS application especially for preventing disast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소구,이승규 (2000),남.북한 지진 목록을 이용한 한국 지진 위험도,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한국지진공학회,제4권,제l 호,pp. 13-34
  2. 건설교통부 (1996),건축물구조기준등에관한규칙 제18조 하중및 외력
  3. 국립방재연구소 (2002),지진에 대한 지역위험도 분석연구,국립 방재연구소 정책연구 11-1310148-000117-01,국립방재연구소,pp. 74-75
  4. 국세청 (2003),건물기준시가 산정방법 해설책자, 국세청 발간책자 11-1210000-000093-10,국세청,pp. 9-24
  5.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9),서울시 지진대응모델 개발,서울시 정연구개발원 보고서 98-T-56,서울시정개발연구원,p. 14
  6. 이기화,이태국 (1997),수도권 일원의 지진위험 분석,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한국지진공학회,제1권,제4호,pp. 2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