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ufacturing Digital Map Version 2.0 Increased Visual Information

시각적 정보력이 향상된 수치지도 Ver. 2.0제작

  • 박경식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지형정보시스템과) ;
  • 이재기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Though Digital Map Ver. 2.0 is adequate to GIS, the possibility to gain information from its external form and the ease of producing paper map had retrogressed. In this research, concerned with the problems, we plan to make Digital Map Ver. 2.0, which satisfies the conditions of GIS. It will have geometrical and logical data structure, and also possess informative ability as much as that of Ver. 1.0. For the study, the process to analyze the topographic code, color, code priority order, etc. of paper relief map, digital map Ver. 1.0, and digital map Ver. 2.0 was taken. For the topographical feature with diverse expression, we changed the portrayal of digital map Ver. 2.0 to make it fit the regulations of map portrayal. At the point of topographic code priority order, the rule is to arrange them in the same order as the real territory. However, we made a special code in the case of any change of the locational order. According to the property of this study, we observe the regulations of map portrayal, for the elements related to subjective sense, such as colors. And we give priority on the data construction when the portrayal of topographical feature and the schema of GIS database system are contradictory.

수치지도 Ver. 2.0은 지리정보시스템에 적합하지만 수치지도로부터 외형적으로 정보를 취득하거나, 종이지도 제작을 위한 용이성 등은 오히려 퇴보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기하하적, 논리적 데이터구조를 가지면서 종이지도 또는 수치지도 Ver. 1.0 수준의 정보력을 갖는 수치지도 Ver. 2.0을 제작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동일지역의 종이지형도, 수치지도 Ver 1.0 및 수치지도 Ver 2.0을 대상으로 지형코드, 색상, 지형코드우선순위 등을 분석하였다. 지형코드의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실제지형과 같은 순위로 배열함을 원칙으로 하되 위치에 따라 순위가 뒤바뀌는 경우에 대해서는 별도의 코드를 생성하였다. 본 연구의 특성상 색상 등과 같이 주관적인 감각이 포함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기존의 도식규정을 준수하며, 지형지물의 외형적 표현방식과 전산자료구조가 서로 대치될 때는 자료구조에 우선순위를 두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지리원 (1998),수치지도 제작과 GIS 활용상에서의 현 수치지도 문제점 종합 분석,국립지리원,pp. 40-80
  2. 국립지리원 (2000),무결점 수치지도 시범 제작을 위한 기술 연구,국립지리원,pp. 20-323
  3. 정완수 (2003),체계적인 지도 수정.갱신 방안,대한토목학회지,제 51권,제 3호,pp. 86-89
  4. 측량관계법령집 (2000),1/5,000 지형도도식적용규정,대한측량협회,2000,pp. 259-301
  5. 김달영,최윤수,황유정 (2002),지도제작 자동화,국립지리원,pp. 15-71
  6. 이재기,황청섭 (2003),1/5,000 수치지도 Ver.2.0을 이용한 지도 제작자동화시스템 개발,대한토목학회 논문집,제 23권,제 5D호 pp. 735-743
  7. 황창섭,정성혁,함창학,이재기 (2003),수치지도 Ver.2.0을 이용한 종지지도제작 기법 개발,한국측량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pp. 281-286
  8. 황창섭 (2004),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제작시스템 개발,충북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최석근 (2004),지도제작자동화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지형도도식 분석,한국측량학회지,제 22권,제4호 pp. 375-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