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analyze the preference of leadership style among ${\lceil}$Transformational leadership$\rfloor$ and ${\lceil}$Service leadership$\rfloor$, 2)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high level of service leadership group and low level of the service leadership group and 3) to testify the hypothesis that the service leadership and its 4 elements (belief, attitude, ability, insigh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to measure the service leadership, the preference of leadership style (transfer-mational leadership and service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The surveys were distributed to 120 managers and employees in the family restaurant in Korea, and 104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response rate: $86.7\%$). The SPSS 12.0 package program was used to conduct the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leadership style preference showed the followers preferred the service leadership $(75.0\%)$ to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25.0\%)$. Comparing the job satisfaction of high level of service leadership group and that of low level of service leadership group, the job satisfaction of high level of service leadership group was significantly (p<0.001) higher than that of low level of service leadership group (high level of service leadership group: 4.03, low service leadership group: 3.27, measured on a 5-point likert scale). All thre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human factor, service system and company image) in high level of leadership group were significantly (p<0.001) higher than those of lower level of service leadership group.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esented that the service leadership and it's 4 elements (concept, mind, skill, insight) have significant (p=0.000)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As a conclusion, we examined theoretical framework of service leadership model and testified the applicability in the field of family restaurants. But the service leadership was the new conceptual theory, so there should be the more empirical studies on managers and employees in the service industry.
본 연구에서는 국내 패밀리 레스토랑 업체를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서비스리더십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고, 서비스 리더십의 수준에 따른 종업원의 만족도를 살펴보고 효과적인 리더십의 유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리더십의 선호도에 있어서는 변혁적 리더십의 선호도$(25\%)$보다 서비스리더십에 대한 선호도$(75\%)$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의 검증에 있어서 서비스 리더십 수준이 높은 집단의 종업원 만족도가 서비스 리더십 수준이 낮은 집단의 종업원 만족도보다 높을 것이라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는 직무만족의 3가지 구성요소에 있어서, 그리고 종합적인 만족점수에 있어서도 유의적(p<0.001)인 차이를 나타내 서비스리더십의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직무만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비스리더십의 구성 요소인 서비스 신념, 태도, 능력, 통찰력이 종업원의 만족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또한 서비스리더십의 선호집단과 변혁적 리더십의 선호집단에 있어서 종업원의 만족도가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지 않았는데, 이는 리더십의 선호도에 있어서 $75\%$의 패밀리 레스토랑의 종사원이 서비스 리더십을 선호한다고 응답하여 높게 나타났고, 선호하는 리더십과 실제로 수행되고 있는 리더십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정된다. 본 연구는 현재 서비스 기업의 엄청난 부가가치의 생산과 더불어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 무형적인 가치의 제공과 고객과의 접점에서 즉각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리더십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이것이 패밀리레스토랑에 적용가능성 타진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리더십을 돌출했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그러나 서비스리더십의 이론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부족하고, 실제로 검증해본 연구들이 양적으로 적어서 일반화의 과정에 있어서는 아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후속 연구에 있어서 이론의 논리적 구성에 대한 검증과 외식업체에서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적용해보는 실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